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
이중텐 지음, 박경숙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중국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중국인은 이렇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꼭 집어 얘기하라면 이야기가 분분한 현실이 사실이다. 저자는 중국인에 대한 이러한 성향을 이야기 위해서, 중국인의 성격을 형성하게 되는 문화 현상을 통해 문화핵심요소를 간추려 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채택된 문화 현상에는 음식, 의복, 체면, 인정, 단위, 가정, 결혼과 연애, 우정, 한담 등의 9가지로써 이는 이 책의 각 장을 구성하고 있다.


 음식 다음으로 중요한 의복에 대한 내용을 보아도 역시 한국인과 그리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더더욱 비슷한 것은 체면이라는 것인데, 한국 사람도 ‘죽어도 체면’이다라는 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문화가 단체의식의 발로라고 하는데 점점 개인화 되어가는 세태가 이러한 체면치례조차 남아 있지 않은 것 같아 걱정이 될 정도인 것 같다. 단체의식의 부재 때문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 책의 장점을 들자면 우선 곳곳의 중국 고사가 재미와 더불어 지식의 창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져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한자의 형성 과정에 대한 실용적인 예시가 깊이 있는 한자공부까지 가능하다. 셋째, 중국인의 성격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했던 중국문화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인에 대한 이해를 바로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중국이 가까이 있는 이웃 나라라는 점 외에도 중국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수 없이 많다. 그 중에는 아마도 우리와 교역하는 나라 중 2위의 무역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의 성장이 가장 큰 이유일 듯하다.

 그러나 조금 아쉬운 점은 지나치게 다양한 예시들로 인해 책 읽기의 속도가 그리 좋지 못하다는 점이었다. 내용의 방대함으로 인해 지루한 면이 없지 않았는데, 그 또한 중국인의 한담의 관습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저자의 이러한 구성방식 또한 중국인을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 아닐까 싶다.

 이어령님의 『디지로그』앞마당에는 유난히 많은 ‘먹는다’라는 한국의 표현이 어린 시절 저자에게 좌절감마저 주고는 했음을 시인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이는 곧 못 먹은 자들의 한이 그 문화에 내포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었는데 이 글의 첫 장 음식에서 너무도 유사한 우리의 문화가 연상되었다. 유목민의 약탈이 굶주림에 원인이 있을 것이라는 다른 책의 내용과는 달리, 유목민들은 항상 먹는 걱정을 하지 않아 대범한 반면, 농경민이었던 중국인은 그렇지 못해 먹는 것이 가장 큰 일이라고 했다. 우리도 역시 농경민족으로써 이는 국가 단위의 차이가 아닌 생업문화의 다름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