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사적인 견해일지는 모르지만 루쉰과 체게바라에게서 묘한 동질감을 느끼곤 한다. 둘 모두 의학을 전공한 공통점이 있지만 진정 치유해야할것은 육체가 아닌 영혼임을, 개인이 아닌 사회의 부조리임을 깨달은 순간 루쉰은 중국 사회의 암흑적 현실과 싸우는 문학가로, 체는 남미의 부조리와 싸우는 혁명가로의 길을 찾아 떠난 모습이 그렇다. 혁명의 진정성은 같았다. 아Q, 힘없고 가난한 최하층민이며 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한 전형적으로 비겁하고 비굴한 부류이다.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시대의 흐름에 표류하며 혁명당이 되고 혁명이 실패하자 살해당하는 허무한 인물이다. 아Q는 중국민중의 무지와 의식 결여에 절망하던 루쉰이 그들을 향해 뱉어낸 인물이다. 자아의식과 목적의식이 결여된, 그저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는 민중에 의한 혁명의 허구와 허무에 절망하며 피 토하듯 그려낸 인물이다. 루쉰의 희망이 절박한 반면 민중의 희망은 그저 아득하고 막연할 뿐이니 그 간극에서 얼마나 절망적이었을까. 희망이 마치 땅위의 길과도 같다는 그의 글에서 살짝 절망이 엿보이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