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타적 민족주의, 이 말이 내가 몇자 적을려고 하는 것에 부합되는 표현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냥 와닿는 느낌에 적절한 표현일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목으로 붙여본다. 어느 미디어에서 이런 우리나라의 성향이 발전을 저해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머리 끄덕이며 동의하는지라 몇자 적어본다.

이성남, 신의손, 미셀 위... 이 이름중에서 아는 사람이 누구일까? 아마 제일 먼저 미셀 위가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간략히 소개하자면 이성남(데니스)은 러시아 축구선수로 성남일화에서 선수생활을 하다가 귀화하여 성남 이씨의 원조가 된 사람이고, 신의손(사리체프)은 이성남보다 먼저 귀화한 러시아 골키퍼로 그때 당시는 천안 일화였기에 천안 신씨가 아닐까 생각한다. 축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아마 모를꺼다. 미셀 위, 워낙 미디어에서 떠들어대는 인물이니 오히려 적지 못하겠다. 

그럼 이들중에서 한국인은 누구일까? 당연히 이성남과 신의손이 한국인이고 미셀 위는 미국인이다. 그런데,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이 미셀 위를 먼저 떠올린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되기 위해 귀화한 외국인과 외국의 국적을 갖고 살고 있는 교포 2세중 누가 한국인인가? 단군이래 단일민족이라는 족쇄가 우리의 사고방식에 채워져있는 것은 아닌가? 워낙 유명세를 타는 인물이니 극단적인 예로 비춰질수 있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우리 사회가 얼마나 배타적인지는 충분히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한가지 예를 더 들자면 일본의 축구선수 나카타의 조상이 한국인이라는 점에서 우리는 일본에 밀리던 한국축구에 위안을 삼았던 적이 있다. 미국의 피겨스케이팅 아무개, 미식축구 아무개도 있다.

외국인들이 한국사회에 가장 인상적인 것을 꼽으라면 친절함을 꼽는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이방인에게 무지막지하게 관대하다가도 일단 그들이 우리 사회의 조직원으로 들어오는 것은 철저히 배타하는 것이다. 세계 유일의 단일민족을 무슨 대단한 자랑인것처럼 세뇌받아 왔지만 그것이 이제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 뻗어나가지 못하고 한반도, 그것도 반으로 잘린 섬아닌 섬으로 자꾸 기어들어가는 것은 아닌지 아쉬운 생각이 든다. 미국이, 중국이 왜 세계 강국으로 서는지 생각하라.

용광로, 우리도 용광로가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