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다시 그날 저녁으로 되돌아가고 싶다. 거리에서 이 작은 책을 펼치고 나서 겨우 처음 몇 줄을 읽어 보고 다시 덮고는 가슴에 꼭 끌어 안고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 정신없이 읽기 위해 내 방에 까지 달려왔던 그 날 저녁으로. 나는 아무런 마음의 고통도 느끼지 못하고, 부러워한다. 오늘 처음으로 이 책을 열어보게 되는 저 알지 못하는 젊은 사람을 너무나도 열렬히 부러워한다.-p20~21-








(인생에서처럼) 책을 읽을 때에도 인생 항로의 변경이나 돌연한 변화가 그리 멀리 있는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보다 독서는 서서히 스며드는 활동일 수 있다. 의식 깊이 빨려들긴 하지만 눈에 띄지 않게 서서히 용해되기 때문에 과정을 몸으로 느낄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문학의 건망증으로 고생하는 독자는 독서를 통해 변하면서도, 독서하는 동안 자신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줄 수 있는 두뇌의 비판 중추가 함께 변하기 때문에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직접 글을 쓰는 사람에게 이 병은 축복, 거의 필수적인 조건일 수 있다. 그것은 위대한 문학 작품이 꼼짝 못하게 불어넣은 경외심 앞에서 그를 지켜 주고, 표절의 문제도 복잡하지 않게 해준다. 그렇지 않다면 독창적인 것은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p88-




독서는 그 자체로 삶을 충만하게 하는 것이지 기억을 하느냐 못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더 중요한 건 일상과 오버랩되는 것. 그리고 고전의 내용들이 신체와 융합하여 나의 언어가 되는 일이다 그게 바로 지성이고 수행이다. -p239-










----------------------------------------------------------------------

나이가 들수록 책을 읽어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가끔은 '기억도 못하는데 왜 책을 읽을까?' 라고 스스로 자문해보기도 하는데, 자꾸 앞을 다시 들추어보는 건망증을 변호하기 위하여 작년 가을부터 나와 비슷한 고민을 했으리라고 생각되는 작가들의 글을 메모해보았다. 나도 저들의 고민 어딘가를 서성이고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