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나고 자란 도시에서는 눈을 구경하기 어려웠다. 기록적인 폭설 때를 제외하면 눈을 본 기억은 거의 없다. 군대에서 평생 본 눈보다 훨씬 더 많은 눈을 단 몇 시간 만에 치우면서, 정말 고향이 그리웠다. 그리고 철없이 '화이트 크리스마스' 따위를 동경하곤 했던 시절을 후회했다. 눈이란 정말 보는 것만 좋을 뿐, 생활인들에겐 치가 떨리도록 싫은 존재라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

 

 

 

서울에 산지 이제 제법 되었건만, 해마다 겨울 추위는 적응되지 않는다. 고향에선 분명 추위에 강한 편이었다. 내가 이런 말을 하면 듣는 이들은 나이 때문이라고, 이제 너도 그런 때가 된 거라고 말들을 하지만, 갓 서울에 올라온 아직 젊었을 당시에도 난 추위에 적응하지 못했다.

 

 

 

2010년 1월 첫 출근날(아마 4일이었던가?)의 폭설을 잊을 수 없다. 당시 우리 집도 경사가 급한 언덕길 위쪽에 있었고, 일터도 역시 비탈길을 한참 올라가야 하는 곳에 있었다. 게다가 둘 다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골목길 안에 있었다. 눈이 한번 내리면 큰길의 눈은 곧 치워지고 또 녹아 없어지지만, 그런 골목길은 금세 빙판길이 되어서 여러 날이 지나도록 얼음이 녹지 않는다. 연탄재를 뿌리고, 흙을 갖다 뿌려도 미끄러운 길을 걸어 오르거나 내려가는 일은 쉽지 않다.

 

 

 

그때 가파른 빙판길을 기어서 오르내리다가(심지어 기어 다녔음에도) 여러 차례 미끄러져 넘어졌다. 허리와 엉덩이에 멍이 들었고, 발목을 다쳐서 한동안 쩔뚝이며 걸어야 했다. 점심시간에 한의원에서 침 맞고, 저주파와 찜질 치료를 받고 나면 막상 밥 먹을 시간이 없어서 쩔뚝쩔뚝 걸으며 김밥을 씹기도 했다. 

 

 

지금 우리 집은 당시보다는 조금 더 언덕 아래쪽으로 이사를 왔지만, 여전히 가파른 비탈길을 오르내려야 한다. 겨울에 눈이 내리면 누군가는 낭만적인 데이트를 떠올리며 행복해하고, 누군가는 소리 없이 눈 내리는 풍경이 멋있다고 감탄하고, 누군가는 술친구를 불러내겠지만, 나는 제일 먼저 걱정부터 하게 된다. 아직 어린 아이들이 빙판길에 넘어질까 봐 겁난다. 아침저녁으로 아이들을 학교와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고 또 데려오는 그 길이 두렵다.

 

 

 

어제 나는 동네 작은 도서관에서 '글쓰기 강의'를 듣기로 약속되어 있었다. 아내는 갑자기 약속이 하나 생겼다고 했다. 그리고 큰아이는 생협 소모임에 나가고 싶어 했다. 아내가 아이들 저녁을 먹이고 큰아이를 소모임 장소에 데려다 주면, 거기서 나는 작은아이를 맡아서 글쓰기 강의를 갈 생각이었다. 큰아이가 모임을 하는 동안 나는 작은아이와 강의를 듣다가 시간 맞춰 다시 큰아이를 데리러 올 생각이었다. 7시가 조금 넘어 아내와 만나면 되겠다고 예상했다. 그때까지 나는 일터에서 좀 더 일을 하고 있었다. 

 

 

출발할 때 연락을 주겠다던 아내로부터 연락이 없어서, 나는 7시 반쯤 일터에서 출발했다. 이미 글쓰기 강의는 시작되었을 시간이다. 큰아이의 소모임 장소는 집과 글쓰기 강의가 있는 장소 사이에 거의 중간쯤 되는 위치다. 거기 도착해서 전화했더니, 아내와 아이들은 출발은 했으나, 버스도 안 오고 택시도 잡히지 않는다고 했다. 8시가 거의 다 된 시간이었다. 집 앞 도로 상황이 어떨지는 뻔히 그려졌다. 평소에도 잘 안 오는 택시가 이런 날 거기까지 들어올 리는 없을 테고, 버스 역시 얼어붙은 도로 사정으로 늦을 게 뻔했다.

 

 

 

결국 아내와 아이들은 8시 반이 넘어서야 버스에서 내렸다고 전화가 왔다. 서둘러 버스 정류장으로 달려갔다. 작은아이를 안고, 큰아이 손을 잡은 아내가 조심스럽게 걸어오고 있었다. 작은아이를 넘겨받고 큰아이는 소모임 장소로 보냈다. 아내는 늦어서 미안하다고 했다. 글쓰기 강의는 9시에서 9시 반 사이에 마칠 것이다. 지금 가도 이미 늦었기 때문에 결국 포기했다. 큰아이의 소모임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끝날 것이다. 나는 아직 저녁도 못 먹었기 때문에 근처 중국 음식점에 들어가 배를 채웠다.

 

 

 

큰아이가 모임을 마치고 나와서 손을 잡고 버스 정류장으로 향했다. 작은아이를 안은 팔이 무겁다. 녀석 그새 또 많이 자란 모양이다. 인도에 쌓였던 눈이 녹다가 얼어붙어서 아주 미끄러운 상태였다. 한쪽 팔에 아이를 안고, 다른 쪽에 아이 손을 붙잡고 조심조심 천천히 걸었다. 간신히 버스정류장에 도착했을 때, 마주 오던 중년의 아주머니가 꽈당 큰 소리를 내며 넘어졌다. 엉덩방아를 아주 크게 찧었다. 옆에 서 있던 한 아저씨가 그 자리에서 사람들이 계속 넘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 아침 큰아이를 학교로 데려가는 골목길도 완전 빙판길이었다. 아이의 손을 꼭 잡고 걸었으나, 아이도 나도 여러 번 미끄러져 균형을 잃었다. 거의 학교에 다 왔을 무렵 결국 아이가 미끄러지며 무릎을 찧었다. 내가 반사적으로 아이를 잡은 손을 끌어올려 넘어지지 않도록 했건만, 이미 아이가 무릎을 찧은 후였다. 우는 녀석을 간신히 달래어 학교로 들여보내고 나서 시계를 보니 평소보다 3배는 더 걸렸다. 저 골목길 얼음이 금방 녹을 일은 없을 테니, 내일부터는 훨씬 더 빨리 집에서 나서야겠다. 이게 다 눈 때문이다! 나는 눈이 정말 싫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맥거핀 2012-12-06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0년 첫 출근날 저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정말 상당했죠.

감은빛 2012-12-07 15:32   좋아요 0 | URL
그날 정말 대단했죠!
하필 그날 저는 파주로 외근을 꼭 나가야 할 상황이라 고생을 좀 했어요.
파주는 서울보다 더 많은 눈이 쌓였더라구요. ㅠ.ㅠ

한숨에 2012-12-07 0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 고난의 행군이었군요..저도요..눈이 싫어요...눈이 싫다는 건 나이를 좀 먹은 거라고들 하던데...

감은빛 2012-12-07 15:34   좋아요 0 | URL
아, 저는 군대 있을때부터 눈을 싫어했어요.
보통 이 땅의 남성들은 대부분 그렇지 않나 싶은대요. ^^

oren 2012-12-07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0년 첫 출근하던 날 폭설은 대단했죠. 그 당시 일화 하나가 떠오릅니다.

일산에 사는 제 친구는 주말을 맞아 근무지(영월, 동강시스타)에서 일산으로 올라왔다가, 새해 첫 출근하던 날 새벽 일찍 일산을 나섰는데, 얼마 못가 폭설을 만났고 별의별 '위험한 고비'를 숱하게 넘기고 간신히 저녁 늦게 영월에 닿을 수 있었다고 하더라구요. (그 친구는 지금 바그다드의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한국의 눈'을 몹시 그리워하고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ㅎㅎ)

폭설이 내리면 제게 떠오르는 영화가 '투모로우'인데, 그 영화에서 여주인공 애미 로섬이 뉴욕의 도서관에 갇혀 맹추위에 떨면서도 '니체의 책'은 차마 불태울 수 없겠다는 '개념있는 대사'를 내놓던 기억도 떠오르네요. ㅎㅎ

감은빛 2012-12-07 15:40   좋아요 0 | URL
새벽에 출근해서 저녁에 닿으셨군요!
정말 별의별 고비를 숱하게 넘기셨겠어요.
그때 고생한 일화들이 상당히 많죠.
전철 중앙선에서는 역과 역 사이가 상당히 멀잖아요.
하필 딱 중간쯤에서 전철 차량 이상으로 승객들을 전부 내려서,
다들 눈 쌓인 벌판을 헤치며 걸었다는 일화도 있더라구요.

저도 [투모루우]에서 말씀하신 그 장면 기억이 납니다.
아무리 추워도 책을 태울 수는 없죠! 그럼요! ^^

blanca 2012-12-08 15: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린이가 참석할 수 있는 생협 소모임도 있군요! 고군분투하시는 감은빛님 정경이 떠올라 안타깝기도 하고 그렇네요. 저는 다행히도 아이 유치원이 바로 집 앞에 있어요. 하지만 저는 저대로 또 미끄러질려다 전신주 잡고 버티고 그랫습니다.^^; 다음에는 글쓰기 강의를 들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은빛 2012-12-13 14:56   좋아요 0 | URL
방송댄스 소모임이라고 TV에 자주 나오는 댄스음악을
틀어놓고 춤추는 소모임이예요.
생협에서 크고작은 행사가 있을때 공연을 하곤 했는데,
우리 큰아이는 초기멤버였고, 벌써 3차례나 공연을 했어요.
어린이가 4명, 어른들이 너댓명 정도 되는 듯 해요.

어젠 글쓰기 강의를 무사히 들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강의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