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밥


삼남매가 평상의
반상에 둘러앉아
볼이 미어져라
상추쌈을 우겨넣는 근경을
열댓 발치에서
묵묵히 바라다보며
오져해하고 있는데
난데없는 큰 손 하나가
가만히 어깨를 짚었다

어머니였다


조성국 / 슬그머니 / 실천문학사


 이등병 시절, 처음 자대배치를 받은 곳은 최전방 철책선이었다. 연대본부에서 다른 동기들은 다들 군용 포차나 육공트럭을 타고 자대로 떠났는데, 우리는 인솔장교와 함께 읍내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어딘가에서 내려서 그곳에서 비로소 포차를 타게 되는데, 인솔장교가 전방에는 한번 들어가면 전화도 할 수 없게 되니까 미리 전화할 시간을 주겠다고 했다. 한 사람당 2통의 전화를 쓰게 해줬다. 물론 전화카드나 동전은 각자가 알아서 해결해야 했다. 동기들이 각각 부모님이나 여자친구 혹은 친구들에게 전화를 했다. 내 차례가 되어 집에 전화를 했으나 아무도 받지 않았다. 아직 휴대폰이 없던 시절이어서 연락할 방법은 없었다. 친하게 지냈던 동기네 집으로 전화를 했다. 다행히 그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 부모님께 대신 전해달라는 말을 하려다가 그냥 삼켰다. 왠 여자애가 전화해서 내 소식을 전하면 그것으로 더 놀랄 양반들이었다. 그냥 전방으로 간다고 잘 지내라는 말을 하고 끊었다.

 대대본부를 거치고, 중대 본부를 거쳐 다시 소초로 이동하는데 며칠이 걸렸다. 소초에서는 앞으로 나와 함께 시간을 보낼 진짜 고참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군대에서 전국 각지의 사람들을 다 만나는데, 내가 만난 사람들 중에서는 경상도와 전라도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사람들도 있었지만, 왠지 기억에 남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내가 처음 소초에 들어갔을때, 가장 고참은 부산 사람이었고, 그 바로 밑에 있던 고참이 광주사람이었다. 왕고인 부산 사람은 내가 들어가고 오래지 않아 제대했다. 나는 화기분대 기관총 탄약수로 들어갔는데, 화기분대장이 바로 두번째 왕고였던 광주사람이었다.

 그 사람은 나에게 무척 잘해주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사람이 나와 마주치면 매일같이 했던 말이 바로 '낮밥문냐?' 였다. 난 전라도 사투리를 하나도 몰라서 '낮밥'이란 단어를 처음 들었다. 안그래도 어리버리하던 이등병시절, 천천히 또박또박 잘 말해줘도 긴장해서 두세번은 '잘 못들었습니다!'라고 소리지른 후에야 비로소 고참이 무슨 말은 하는지 알아들었던 시기였다. 그가 내게 다가와 '낮밥문냐?'라고 말하는데, 도무지 무슨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무조건 '잘 못들었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이 위기를 어떻게 넘겨야 할지 머리를 굴리고 있었다. 세번째였던가 네번째였던가 계속 내가 못알아듣자, 결국 그는 내 머리를 손바닥으로 퍽 치고는 '낮밥 무긋냐고?'라며 언성을 높였다. 그래도 '낮밥'이 뭔지 몰랐던 나는 계속 '잘 못들었습니다!'라고 말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그는 혀를 끌끌 차며 고개숙인 나를 내버려둔채 그냥 가버렸고, 나중에 다른 고참이 '낮밥'이 점심이라고 말해주었다. 낮밥, 이 쉬운 말을 왜 못알아들었을까? 이 시를 읽는 순간 그 고참의 얼굴과 목소리가 생각났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가방 2011-04-12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고향이 경상도, 남편은 전라도거든요.
결혼해서 한동안은 시어머님 말씀을 남편이 통역해줘야만 알아들을 수 있었답니다.
15년을 훌쩍 넘긴 지금은 웬만한 사투리는 다 알아들어요..^^

근데 제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가 통화를 하시면...서로 네~네~만 하시다 끊는답니다.
시어머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제 친정어머니는 시어머니 말씀을 하나도 못알아 들으셨다더군요..ㅋ

저도 낮밥이라는 말은 처음 들어요.
남편오면 물어봐야겠네요...^^

감은빛 2011-04-13 15:23   좋아요 0 | URL
사투리라는게 그래서 참 재밌는 것 같아요.
같은 나라에서도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다는거 신기하죠.
이 좁은 땅덩어리에서조차 말예요.

낮밥이란 말 생각할수록 간단명료하고 좋은 것 같아요.
조기 시에서 '오져해한다는' 표현도 전라도 사투리더라구요.

책가방 2011-04-14 01:00   좋아요 0 | URL
(오지다)에 대한 일화도 있답니다.
경상도에서의 (오지다)는 (고소하다, 샘통이다)등의 뜻으로 쓰인답니다.
그런데 전라도에서의 (오지다)는 (든든하다, 알차다)등의 뜻으로 쓰이더군요.
첫아이 낳고 친정에 있을 때 시부모님이 오셨었는데...
그때 시어머님이 친정엄마께 "아들딸들이 많아서 오지겄소" 하셨다는...ㅋ
친정엄마는 당황해하시면서도 침착하게 "네~그렇지요" 하시더군요.
나중에 나를 통해, 나는 남편을 통해 그 (오지다)의 뜻을 알고나서는 오해가 풀렸답니다...^^

감은빛 2011-04-14 03:21   좋아요 0 | URL
재미있는 일화네요!
제가 경상도 사람이라 잘 아는데요.
'오지다'는 그닥 좋은 뜻이 아니거든요.
어머님께서 무척 당황하셨을 것 같은데,
그래도 신중하게 잘 대처하셨네요.

재미있는 사례를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굿바이 2011-04-12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져해하고 있는데" 저 문장을 읽고 있으니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좋은 시 잘 읽었습니다 ^^

감은빛 2011-04-13 15:24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처음에 그게 무슨 말인지 몰라서 찾아보니,
역시 사투리더라구요.
표현이 참 좋아요.
고맙습니다!

비로그인 2011-04-12 2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저는 경상도 지방에서 군생활을 했는데 동기며, 고참들 말을 대체 하나도 알아 듣기가 힘들더라고요. 사투리가 꽤 심한 동기의 얘기는 제대할 때까지 늘 반만 알아듣고, 대강 흘려 듣던 기억이 납니다.

10년만에 만났는데, 잘 풀려 있더라고요. 꽤 부럽기도 했지만, 그 친구가 준비한 시간들이 꽤나 의미 있는 것이었기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기도 했고요. 그리고 어떤 고참은 제게 괴롭혀서 미안하다는 사과의 메일도 보내기도 했는데 감은빛님 페이퍼 보니 막 생각이 나네요 ㅎ

감은빛 2011-04-13 15:25   좋아요 0 | URL
군생활을 경상도에서 하셨군요.
저는 경상도 사람인데, 강원도에 있었어요.

아직도 연락하고 지내시나봐요.
저는 군대와 관련된 사람은 모두 연락이 끊긴지 아주 오래된 것 같아요.

따라쟁이 2011-04-13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점심 먹어야겠어요. 갑자기 막 배가 고파지네요

감은빛 2011-04-13 15:25   좋아요 0 | URL
뭐 맛난 거 드셨나요? ^^

2011-04-13 13: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4-13 15: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루쉰P 2011-04-13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낮밥'이 점심이라, 저도 군대에서 주요 대사가 '잘 모르겠습니다.' 였는데 감은빛님도 비슷하셨군요. 저는 예전 커피숍 근무 시절에 나이든 손님들이 '엽차'를 달라고 하셔서 이게 도대체 무슨 차인가 메뉴판에도 없고 한참을 헤맸던 기억이 나는데 그것이 그냥 맹물이었다는 사실에 어찌나 황당하던지 ^^ 암튼 '낮밥'이 점심밥이라 단어가 멋지네요. 감은빛님의 군대 추억도 그렇구요. 아! 그리고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려요. 감은빛님은 글 잘 쓰시는게 확실합니다!

감은빛 2011-04-14 02:30   좋아요 0 | URL
네, 이등병때는 늘 그 말을 입에 달고 살았습니다. ^^

'엽차'라는 단어 참 오랫만에 들어보네요.

축하는 감사히 받겠습니다만, 제가 글을 잘 쓰는 건 아니구요.
그냥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영원한 청춘 2011-04-13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낮밥이라는 말은 저도 처음 듣네요. 엄마가 전라도 분이시지만 저희엄마도 모르시는듯.ㅋㅋ
감은빛님은 낮밥이라는 말만 들어도 이렇게 군대시절을 떠올리겠네요.
멋진 글 잘 보고 가요~

감은빛 2011-04-14 02:32   좋아요 0 | URL
아마 전라도 중에서도 지역마다 단어나 뜻이 다르겠지요.
경상도도 그렇더라구요.
부산 바로 옆에 있는 김해는 부산말과 완전히 다른 억양과 단어를 쓰거든요.
고맙습니다.

순오기 2011-04-14 0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전라도 며느리 돼서 '낮밥'이란 말을 처음 들었습니다.
낮밥과 더불어 '식은밥'도 생소했는데, 그건 충청도의 '찬밥'이란 걸 알아들었지만...ㅋㅋ
'오지다'는 말은 광주살이 20년 넘으니 저도 곧잘 씁니다.^^
그리고 전화 통하를 끝낼 때 '들어가라~'는 말,
처음엔 '들어가긴 어디로 들어가!' 하면서 웃었는데, 이제는 나도 쓴다는~~ ㅋㅋ

감은빛 2011-04-14 02:34   좋아요 0 | URL
'식은밥'이란 단어도 있군요.
'오지다' 조기 위에 책가방님께서 알려주신 사례가 굉장히 재밌네요.
경상도에서 '오지다'는 사실 좋지 않은 뜻이거든요.

'들어가라'는 말, 서울 사람들도 많이 쓰던데요.

양철나무꾼 2011-04-14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 남편은요, 학교 방송국 아나운서를 해서 평상시엔 전혀 못 느끼는데...
한번씩 부모님이랑 전화통화를 할때 보면 '오지게' 사투리를 써요.

이 '오지다'는 말은 연애 6년, 결혼16년 만에 깨친 것들이구요~^^

감은빛 2011-04-15 05:06   좋아요 0 | URL
저도 평소에는 사투리를 거의 안쓰지만,
(억양에는 살짝 남아있다고 하더라구요.)
가족들이나 고향친구들과 전화(혹은 대화)할 때는 '오지게' 쓰게 되던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