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리지 못하는 아이들 - 어떻게 엄마의 사랑을 잃어야 하는가
이수련 지음 / 위고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가 '어떻게 엄마의 사랑을 잃어야 하는가'이다. 엄마의 사랑을 잃어야 하다니? 그렇다. 전폭적으로 쏟아붓던 자식에 대한 애정은 어느 시기가 되면 멈춰져야 한다. 아니, 멈춘다는 말은 틀리다. 엄마가 어떻게 자식에 대한 애정을 멈출 수 있겠는가. 애정이라기 보다 '애착'을 멈춰야 한다는 말이다. 자녀의 독립은 비로소 그때 이루어진다. '사랑' 또는 '애정'이라는 이름으로 자식에 대한 애착을 계속 쥐고 있는 한 그들은 영원히 성인으로 자라지 못한다.

여기까지는 나도 평소에 머리속에서나마 알고 있던 상식이라면 상식이었는데, 이 책에서는 정신분석학 전공자인 저자가 왜 그래야하는지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어느 한 시기 엄마와 아이의 애착관계는 아이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이었다. 엄마의 보살핌, 관심, 반응을 통해 아이는 정상적으로 커나가고, 나아가 엄마의 사랑을 확신하면서 아이는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간다. 정말 중요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주고 받은 애정은 아이가 자신의 존재에 대해 믿음을 갖고 자신을 지탱해주는 힘으로 저축이 되어 장차 엄마와의 애착관계를 끊고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는 힘이 되어주어 일정시기가 되면 아이는 엄마와의 이런 관계로부터 벗어나가는 단계에 들어가는데 이제 문제는아이가 아니라 엄마된 사람이다.

아이가 엄마와의 관계속에 갇혀 있다는 건 다른 어떤 관계도 시작하지 못했다는 의미.

엄마의 사랑은 아이에게 힘과 자신감을 줍니다. 엄마를 바라보며 도움을 청하던 아이가 엄마를 떠올리면서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다고 스스로를 믿게 되는 순간, 엄마의 사랑이 완성됩니다. 그 사랑이 그렇게 튼튼한 울타리가 되는 것은 아이가 엄마의 품을 떠날 수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집니다. (29)

 

여동생의 아이가 중학생이 되었을때 학교에서 단체로 수련을 떠났는데 가서는 전화도 없고 막상 엄마가 먼저 전화를 했는데도 별로 엄마를 보고싶어하지 않더라고, 동생이 무척 서운해한적이 있다. 그건 지금까지 아이가 충분히 엄마의 사랑을 받고 자라고 있었다는 의미 아니겠느냐고, 그런 사랑이 아이로 하여금 집을 떠나서도 엄마를 보고 싶어하지 않고 안심하고 그 환경에 잘 적응하고 지낼 수 있게 하는게 아니겠냐고 얘기해주었던 기억이 있다. 솔직한 내 생각이었다.

 

애착의 관계를 잘 마무리할수 없는데는 엄마된 사람으로써 자식에게 필요한 만큼 (또는 엄마를 스스로 만족시킬만큼) 충분히 주지 못한것 같다는 자책이 원인일 수도 있겠다.

사랑을 잘 잃을 수 있으려면 그만큼 견고한 사랑의 힘을 믿을 수 있어야 합니다. (29)

어른이 되는 것엔 두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우선은 어린 시절 엄마의 사랑을 아낌없이 듬뿍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그 사랑을 잃어버려야 합니다. 요컨대 애착관계는 그것이 반드시 끝나고 깨진다는 목표를 이루었을때만 완성될 수 있습니다. (30)

하지만 엄마로서 자식에게 그동안 충분한 사랑을 주었다고 자신할 엄마 별로 없을 것이고, 그렇다 한들 애착관계 끊기가 수월한 엄마 없을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엄마의 삶에 다른 여지가 생겨야 합니다. 즉, 엄마의 사랑이 온전히 아이만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향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60)

 

더불어, 아이에게 너무 바라는 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 것도 문제가 되기는 마찬가지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유는, 부모의 바람은 아이의 자리를 잡아주고 안내자가 되어주며, 그 자리를 시작으로 아이는 스스로 자신이 가고 싶은, 갈수 있는 또 다른 자리를 만들어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필요 없으니 튼튼하게만 자라다오'라는 말은 아이를 후퇴시키거나 아이가 아무 변화도 시도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무언가를 '바라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그것으로 아이는 자신의 존재가 부모에게 해줄 역할이 있다고 느끼고 스스로를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게 됩니다. (77)

 

엄마의 애착에 대해서만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는 엄마의 역할과 분명히 구분되는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도 강조한다. 엄마가 아빠를 어떻게 소개하고 얘기하는가에 따라 아이는 아빠를 받아들이며, 점차 엄마가 바라는 것이 되는 자리에서 아빠가 가지고 있는 것을 물려받는 자리로 이동해간다는 것이다. 엄마와의 관계에 비해 아빠는 일종의 롤모델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빠는 '사회의 법과 질서 아래 있는 자'로서 아이를 만나야 합니다. 아빠의 것을 물려받는 일이 아빠의 세계에 갇히는 일이 아니라, 사회의 틀 안에서 자신의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일이 되어야 합니다. (117)

아빠가 사회적인 틀 속에 있는 법이 아니라 아빠 개인에게 속한 독재적인 법을 행사하고 그 위에 군림한다면 상황이 달라진다고 한다. 친구 같은 아빠가 자칫 독이 될수 있는 이유는 아이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일 중하나인 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적절한 때가 있다는 것은 자식을 키우는데 있어서도 어김없이 적용되는 것 같다. 잃는 것이 때로는 얻는 것, 완성을 위한 단계임을 알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