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싶다 그러나 마르고 싶다
김준기 지음 / 푸른숲 / 1997년 6월
평점 :
품절


이런 책이 나올 만 하다고 생각했다 요즘 처럼 다이어트 열풍이 불고 있는 즈음이면.

그런데, 생각보다 일찍 출간된 책이었다 (1997년). 그동안 내 눈에 뜨이지 않았던 것 뿐.

저자는 예전에는 여성이 성에 대해 억압되고 있었다면 현대에는 먹는 것에 억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책 제목만을 보고 남편은 뭐하러 그런 책을 읽느냐고 했다. 아마도 다이어트 방법을 적어 놓은 책 쯤으로 짐작했나보다. 내가 이 책은 섭식장애를 겪고 있는 여러 사람들의 사례와, 그런 장애를 겪게 되는 심리적 배경을 의식, 무의식의 관점에서 분석해놓은 책이라고 설명해주자, 그때서야 고개를 끄덕거린다.

사례만큼 다양한 배경과 원인이 있겠지만, 어려서 또는 성장과정에서 부모와의 원만한 관계가 이루어 지지 않았을 때(특히 엄마), 어떤 자기 충족의 방법으로,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방어하는 하나의 무기로서 다이어트가 채택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에는 자식을 키우는 입장에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엄마노릇하기, 제대로 된 엄마노릇하기의 중요성은 이런 곳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엄마의 well-being상태는 온 가족이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라고 했다.

치료자의 입장에서도 아직 완벽한 치료법이 없다는 사실. 본인과, 본인을 억압하던 대상과의 화해가 있기전에는 힘들다는 말.

결론적으로 저자는 인생을 무엇의 강박적인 노예가 되어 살기 보다는, 즐겁고 보람있게 살 것을 권하고 있다, 설사 다이어트를 포기하더라도.

뚜렷한 가치관과 인생의 목표, 그 자리를 다이어트나 마른 몸매가 대신 차지하고 들어오지 않도록 늘 자신을 재정비, 정신적 재무장 할 것.

정신적인 억압과 스트레스, 부담. 이런 것들도 어느 한계치 이상 내 안에 쌓아놓지 말것. 그건 어떤 형태로든 나타나니까. 신체적 질병, 아니면 마음의 병, 최악의 경우 이렇게 몸과 마음의 병이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