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에 엔진을 달아라 나남신서 1198
임헌우 지음 / 나남출판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여러 분야에서 지향되고 있는 개인 능력 중 하나가 창의력이라면, 상상력과 창의력은 동전의 앞뒷면 같은 관계라고 생각한다. 상상력 없는 창의력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우리 나라 사람들이 성실성과 집약적인 노력면에서 월등한 반면 창의력 면에서 많이 떨어진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획일적인 교육, 개성을 키워주기 보다 정답에 가까운 인간형으로 만들려는 풍조 등이 한몫 하지 않았나 싶다. 나 역시 어떤 문제를 풀때 '상상력 테스트'라든지 혹은 '창의력이 요구되는' 이란 말이 들어가면 일단 긴장하게 되는데, 스스로 약점이라는 잠재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디자인을 전공한 저자는 이 책 '상상력에 엔진을 달아라' 에서, 기발한 상상력이 발휘된 광고 작품의 예를 여럿 보이면서, 단순히 광고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상상력에 얼마나 우리가 인생을 보는 시각을 넓힐 수 있는지, 인생의 위기를 달리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지를 얘기하고 있다. 책의 구성도 특이하여 각 소제목의 글 시작 페이지는 마치 마음대로 낙서를 한 듯한 쪽지 처럼 꾸며져 있어서 보는 사람의 이목을 끌도록 되어 있다. 상상력은 당신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열어주는 '캔 오프너'가 될 것이라는 알렉세이 브로도비치의 말을 인용하면서, 아는 것이 적으면 사랑하는 것도 적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실패는 경험일 뿐이다, 사람은 자기가 생각하는 그대로 존재한다, 생각하는 대로 보이고, 상상한 대로 이루어 진다 등의 제목아래 상상력으로 사고의 범위를 넓히고, 가능성의 한계를 확장시키고, 인생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나이, 성별, 신체 조건 등이 우리의 가능성을 제약할 이유는 아무 것도 없으며 오히려 '나이듦'은 또하나의 도전이라는 생각은 얼마나 참신한가. 실패는 경험일뿐, 실패의 두 발자국 뒤에서 희망이 따라온다는 말은 참 근사한 카피 아닌가?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란 꼭 아무 것도 없는 무에서 유로의 창조가 아니라, 기존에 있던 것들을 과감히 잘라냄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면서, 우리의 하루도, 우리의 일도 정리 정돈해보면 이전에 안 보이던 새로운 프레임이 눈에 띌 수도 있다고 한다. 외국의 광고들이 말과 화면을 절제하면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하는 반면 우리 나라의 광고는 상투적인 이미지와 카피를 무조건 많이 꽉 차게 보여주려는 경향이 있다는 말도 덧붙이면서.
불필요한 가지를 과감히 쳐내다 보면, 중요한 핵심이 보이고, 더 확실하게 보인다는 것, 잊고 살기 쉬운 것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다. 우리는 자꾸 새로 뭔가를 더 보태려고 하지, 잘라보려는 시도는 안하게 되니까 말이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나이란 능력과 관계없고 스스로를 바라보는 태도와 관련있다는, 그 '태도'를 가지고 자신을 보고, 세상을 보고, 내 앞에 닥친 일을 볼 수 있다면, 왜 아니겠는가. 희망은 바로 실패의 두 발자국 뒤에서 따라온다는 것. 그렇게 보는 세상은 훨씬 멋지지 않을까. 그런 태도와 사고를 가지는 나는 훨씬 멋진 사람이지 않을까.

꿈, 희망, 상상력, 가능성, 시작, 도전, 이런 메시지가 가득 담겨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