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 - 엄마학교 Q&A
서형숙 지음 / 큰솔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지금까지 해본 일 중에 가장 어려운 일이 육아였다고, 나는 기회가 될 때마다 말하곤 했었다. 나 혼자 하는 일이라면 나중의 손해나 불이익을 감수하고서라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선 뒤로 미루기도 하고 포기하기도 하며 넘어가겠지만, 육아는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아이가 엄마를 찾을 때는 내 몸이 아무리 힘들어도 일단 아이에게로 달려가야 한다. 그런 일이 가끔가다 있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도 몇 번씩 일어난다. 나의 상황을 아이에게 사정해서 이해시키는 것도 불가능하고 잠시만 기다려 달라고 협상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핵가족화라는 간단하고 편리한 가족체계화의 댓가로 우리는 육아와 살림을 나눠할 사람도 잃었다. 지금까지 해오던 일을 그대로 해가면서 아이를 키우기란 정말 보람에 비해서 훨씬 더 많은 눈물과 땀을 요구하는 일이라고 마음이 굳어지고 있었다. 그래서 이 힘든 여정의 위안과 가르침을 얻고자 참으로 많은 육아서, 교육서적을 읽었다. 그런다가 저자의 책을 만났다. 그런데, 이 책에서 저자는 줄곧 육아가 달콤했단다. 하나도 아니고 두명의 아이를 키우면서 정말 행복했단다. 저자는 도대체 무슨 비결이 있길래 내가 제일 힘들어 했던 일을 달콤하게 해낼 수 있었단 말인가. 이런 마음으로 읽게 된 저자의 책으로 <엄마학교>를 시작으로 <거꾸로 사는 엄마>, <엄마라는 행복한 직업>에 이어 근간인 <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에 이르기까지 전부 읽어본 결과, 엄마라는 역할을 저자가 참으로 지혜롭게 수행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자식을 믿고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는가. 그럼에도 아이와 함께 행복하지만은 않은 것은 아이를 내 맘대로 내 기준에 맞춰 키우려고 하거나, 아이보다 지혜롭게 대처하지 못하고 맞먹기 때문이다. 나도 내가 맘에 안들고 기대만큼 안되는 것이 속상한데, 어린 아이에게 큰 기대를 잔뜩 걸어놓고 그대로 되기를 소망한다. 건강하게 태어난 아이에게 "너는 할 일 다 했어.", "충분해." 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욕심을 버려야 한다. 기대를 내려 놓아야 한다.
엄마들은 외롭다. 남들도 다 하는 일이라 이렇게 어렵고 힘들다는 것을 잘 몰라준다. 가장 힘이 되어 줄 것이라 믿었던 남편도 '남의 편'이라고 생각이 되는 것도 아이를 키우면서이다. 잘하고 싶고, 그렇기 때문에 잘못되면 어떻하나 두려움도 크다. 이제 어른이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웬걸, 아이를 키우면서 어릴 때부터 그간의 상처가 다 드러난다. 그래서 아이 키우는 것이 달콤할 수 없었다. 이런 엄마들에게 솔로몬의 지혜같은 이 책에 나는 정말로 감사한다. 나를, 나만을 요구하며 불러대는 아이에게 짜증을 내는 대신, '살면서 언제 우리가 이런 지극한 사랑을 받았나요? 어느 누구로부터 이런 전폭적 지지를 받아 봅니까? 우리 엄마가 사랑해줬다고요? 아버지와 나누고 형제들과 나누었으니 아이의 것과는 비교할 수 없어요. 남편이 사랑해 줬다고요? 자기 부모와 친구들과 나눈 사랑이지요. 반면 아이의 사랑은 온 우주 자체로 엄마만을 향해요.' 라는 글에서 내 마음은 다른 상태가 된다. 저자라고 해서 처음부터 쉽고 달콤했겠는가. 노력의 결과이다. '아침저녁으로 세수하듯 화내지 않기, 소리 지르지 않기를 계속 되뇌이면서 마음을 닦아야 해요.'라고 조곤조곤 가르쳐준다. 노력하는 한 내일은 오늘과 같지 않다고.
무조건 사랑으로 대하라는 막연한 얘기가 아니라, 저자가 얼마나 지혜롭고 슬기롭게 아이를 키웠는지, 엄마들의 하소연을 들어주고 고민에 대한 답변으로 엮어진 이 책으로부터 한번 배워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