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벽장 속의 아이
오틸리 바이 지음, 진민정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다 읽은 후 우선 드는 생각은, 실화를 바탕으로 쓰였다는 이 책의 주인공 아이가 지금은 그 상처를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잘 살고 있을까 하는 것이다. 제발 그랬으면 하는 바램으로 말이다.
겨우 다섯살 난 아이가, 새 아빠의 미움을 받고 벽장 속에 갇힌다. 깜깜하고 폐쇄적인 공간에서 하루 이틀도 아니고 장장 아홉 달을 보낸 아이. 나중엔 눈도 못뜨고 걸음도 제대로 못 걷게 되며 인간의 형체를 하고 있지 않게 되는데, 더 문제점은 의식이 또렷하지 않은 상태였다는 것이다. 새 아빠는 아이와 피가 섞이지 않은 사람이라 치고, 아이가 벽장 속에 갖히도록 묵인한 이 엄마는 아이를 낳은 친엄마가 아닌가. 다른 사람이 아닌 엄마에게 느낀 실망과 절망, 배신감을 과연 이 아이가 후에 극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무 것도 안보이는 벽장 속에서 아이는 엄마의 발걸음, 목소리, 인기척 하나 하나를 귀로 느끼며 놓치지 않으려 애쓰며, 엄마의 손길 한번 더 받고 싶어 늘 그 순간을 꿈꾸며 버티는데, 그 희망마저 박탈 당한 후 아이는 언젠가 벽장에서 나갈 수 있으리란 기대와 기다림을 모두 저버리고 그저 기본적인 먹고, 배설하고, 자는 행위만을 반복한 채 혼미한 의식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읽는 내내 가여움과 분노 속에서, 내가 갇힌 그 아이가 되었다가, 어떤 때는 그 아이를 가두는데 동조한 그 아이의 엄마가 되기도 했다가, 고통과 슬픔을 느껴야 했다.
이 책에서 제일 분노르 자아낸 인간인 바로 이 아이의 엄마는, 자신의 아이면서도 새 남편으로부터의 버림이 두려워, 아이를 벽장 속에서 꺼내주지 않는다. 그럴 수가 있을까? 꺼내달라고 소리치며 울부짖는 아이의 소리를 어떻게 그냥 넘길 수 있을까 말이다. 이미 그 엄마는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었다고 생각되며 그렇게 된 데에는 또 어떤 경험적 배경이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자기가 낳은 아이를, 키우지 않고 단지 '보관'만 해두었던 엄마의 사연이란 도대체 뭘까.
이런 극단적인 예는 아니더라도, 아이를 키우면서 혹시 어떤 보이지 않는 벽 속에 내 아이를 가두려고 하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내 체면과 내 만족을 위해.
생각만으로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