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스케치북에 손대지 마라 - 상위 1% 인재로 키우는 10년 투자 성공 비결
김미영 지음 / 동아일보사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는 화가인 남편을 따라 두 아이를 데리고 파리로 건너가 그곳에서 지내다가 다시 영국으로 옮겨 8년간의 유럽 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안봐도 우리와는 많이 다를거라 짐작이 가는 유럽의 예술 교육을 소개하는 내용의 책이다.
우리 나라의 예술 교육은 그리고, 만들고, 연주하는 '기술'에 중점을 두는데 반해, 크레파스 없이 진행하는 미술 수업, 음을 배우기 전에 피아노 건반을 만져 보는 것부터 시작하는, 대본 없이 연극을 아이들 스스로 진행해보도록 하는 그네들의 예술 교육을 지나치게 극과 극으로 비교해놓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프랑스와 영국에만 해도 차고 넘치는 미술관과 박물관들이 아이들 예술 교육을 위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소개하면서, 후에 한국으로 돌아와서 우리 나라에도 미술관이나 박물관마다  이런 프로그램들이 이미 많이 마련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놀랐다는 저자의 말 처럼, 우리 나라의 예술 교육 자체가 그렇게 뒤쳐져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문제는 그런 프로그램들이 아직 여러 아이들이 골고루 이용하고 이지 못하다는 점과, 그런 프로그램에의 참여는 어디까지나 입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학년 까지만 이루어지고 있다는 우리 나라의 교육 현실이라고 보고 싶다.
아이의 호기심을 키워줘야 함은 비단 예술 교육뿐 아니라 과학을 비롯하여 모든 분야의 학습 동기 유발에 중요하다고 보는데, 아이의 호기심에 아빠가 이렇게 반응하라는 111쪽의 글을 읽어가는 동안 어느새 건성으로 글자를 읽어가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비행기가 어떻게 날아?" 라고 아이가 물어 올때 부모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느냐에 대해, 비행기가 날으는 원리부터 차근차근 설명을 하고, 비행기에 대한 동영상을 보여 주며, 모형 비행기를 만들어 함께 날려 보아야 하고, 실제로 비행기가 이륙하는 광경을 아이가 눈과 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라고 한다. 이 정도 되어야 아이의 호기심을 키워 줄 수 있다고. 하루에도 쉴새 없이 던져 대는 질문의 홍수 속에 사는 엄마들에게 이런 충고는 너무나 실현성이 없게 들리지 않을까 싶다.
또한 영국과 프랑스의 미술관과 박물관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하는 것은 좋은데, 무슨 요일, 몇시 부터 몇시 까지, 구체적인 수업 내용까지 매번 지면을 할애하면서 소개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 나라 아이들이 사교육에 시달리는 동안 유럽의 아이들은 미술관과 박물관, 학교 등에서 자유롭게 예술을 접한다고 하는데, 그러면서 영국에서 제일 인기 있는 학원은 뮤지컬 아카데미라는 것은 결국 그네들도 제일 인기있는 분야는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 아닌가. 이래서 영국이 세계적인 뮤지컬 강국이 될수 있는 것이라면서 아이와 영국에 갈 때 꼭 보여주라는 뮤지컬을 쭉 열거하는 중에 맘마미아도 들어 있다. 글쎄, 개인적으로 그 뮤지컬의 노래는 좋지만 그 내용이 꼬맹이 아이들 손을 잡고 가서 보기에 적절하다고 할수 있을지 의문이다.
바람직한 예술 교육은 이렇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저자의 의도는 알겠으나, 우리 나라의 예술 교육을 너무 유럽의 예술 교육과 정 반대 쪽에 갖다 놓고 극과 극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전제를 하지 않았나 싶다.
책의 마지막에 아이와 함께 파리, 런던 여행길에 들러야할 51곳을 지도와 함께 소개한 것은 어느 여행 책에서나 쉽게 볼수 있는 것이니 굳이 이 책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