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격있는 아이로 키워라 - 세계를 이끄는 1% 리더들의 미래경쟁력
엘리자베스 버거 지음, 이선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character 주로 도덕적인 성격, 강한 의지 따위를 나타냄. 인격.
-individuality 남과 다른 성격. 개성: a man of strong individuality 개성이 강한 사람.
-personality 내면적인 성격과 외면적인 모습이 합친 것으로 남에게 주는 인상으로서의 성격. 인품: a man of pleasing personality 인상 좋은 인품의 사람.
-temperament 성격의 기초를 이루는 주로 감정적인 성질.

한글과컴퓨터 사전에서 찾아본 뜻이다.
이 책의 원제가 'Raising kinds with character', 우리말 제목은 '품격있는 아이로 키워라' 인데 '품격있는 아이'란 어떤 특성의 아이를 말하는 것일까 얼른 연상이 되질 않아서 사전에서 찾아보게 되었다. 책 앞의 저자 서문에서도 언급이 되었듯이, 원제의 character는 품격보다는 '인격'의 뜻이 강하고 이것이 더 나아가 '품격 (nobility)'으로 발전되는 것이다.
머리 좋은 아이, 공부 잘 하는 아이, 다재다능한 아이, 그저 부모의 말을 잘 듣는 아이로 키우는 것에만 주목하는 것 보다 멋지지 않은가? 품격있는 아이로 키운다는 것.
이 책은 부모와의 첫5년, 6세~13세 시기, 청소년기의 시작, 이렇게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 밑의 작은 제목들만 훑어보아도 저자가 무슨 얘기를 하려고 하는지 대강 파악이 된다 ; 부모역할의 절반은 기다려 주기, 잦은 잔소리보다 알아들을 수 없는 훈계가 더 나쁘다, 공격성을 길들이려면 화를 인정해주어라, 아이와의 자존심 대결은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싸움, 아이는 부모의 발자국을 따라 걷는다, 욕구를 채워주는 것을 넘어, 꿈을 지원해주는 부모가 되어라, 아이 '대신' 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머리를 맞대주는 것이 부모, 반항심과 자립심은 종이 한장 차이 등등. 그리고 에필로그의 제목은 사랑이 아이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것.
이 세상 부모중 자기 자식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있을까? 그런데 왜 항상 이 사랑이 문제가 되는 것일까. 부모가 가지고 있는 사랑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음 속에 담아만 두고 아이가 그것을 제대로 못느끼게 하거나, 또는 그 사랑을 베품에 있어서 받는 아이 중심이 아니라, 주는 부모의 관점에서, 부모의 방식으로 베풀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는 내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이렇게 사랑을 줄테니 너는 그대로 받기만 하라는 식의. 하지만 아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사랑 받기를 원한다. 아이 뿐 아니라 사람은 누구나 그렇지 않은가. 이것이 힘든 것이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아이 키우는 법을 가르치는 일보다 훨씬 어렵고 힘들다.' 라는 저자의 말처럼.
부모란 이름으로, 사랑이란 명분으로 아이를 조정하고 제압하려 드는데서 아이와의 갈등이 시작되고, 부모는 뭐든지 아이를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부모도 아직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중의 한 인간 아닌가. 꾾임없이 배우고 뉘우치고 다시 일어서는. 아이 위에서 종속 관계로 군림하려들지 말고, 일방적으로 아이를 가르치려 들지도 말고, 아이를 키우면서 나도 함께 자란다고 마음먹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저자도 말해주고 있다. 아이는 그저 부모에게 넘치는 사랑을 받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아이의 품격 역시 교육받는 만큼이 아니라 사랑받는 만큼 성장한다고. 말 잘 듣는 아이보다 자기주도성 강한 아이가 낫다면서, 일시적으로 감정이 욱하는 순간엔 화를 내며 소리만 지를 것이 아니라 '잠시 중단할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고 한다. 또한, 한번 안된다고 한것을 계속 해달라고 떼를 쓰는 아이에 대해, 처음에 말한대로 밀고 나가지 않으면 일관성 없는 태도로 인해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닐까 걱정하지만, 윤리, 도덕적 기준을 상황에 따라 바꾸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외에는 항상 더 나은 방법을 찾아 방향을 수정해나가는 자세가 오히려 필요하다는 것, 청소년기를 맞아 독립 또는 자립하고 싶어하는 아이에게 있어서, 아이가 언제든 뒤돌아 보고 부모가 거기에 있다는 것으로 위로와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든든한 배경이 되어주면 된다고 한다. 청소년기의 탈선으로부터 다시 돌아로수 있게 하는 힘은 바로 어느 상황에서도 변치 않는 부모로부터의 신뢰, 그리고 그러한 부모의 신념이라고.
다음은 내가 읽으면서 남편에게 따로 읽어준 부분이다;
'실패'는 살아가는 내내 도처에 널려 있다. 그러나 더 암담한 실패는 '누군가가 정의해둔 궤도에서 벗어난' 그 상황을 '절망적'이라고 규정하는 것이다. 부모는 냉혹한 사회와 한편이 되어 아이의 실패를 '절망으로 규정'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또 내가 설정해둔 성공의 고지를 고스란히 아이의 미래로 강요해서도 안 된다.
아이를 키우는 것, 즉 한 인간을 키우는 것은 고난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그래서 숭고한 길이기도 하다. 아이를 기른다는 것은 우주를 잉태하는 것과도 같다는데, 우리는 너무 조급해하는 것 아닐까. 내 뜻대로만 하려고 드는 것은 아닐까. 아이가 저 넓은 대양을 더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도록 부모는 등 뒤에서 든든한 등대가 되어주는 것으로 족하다는데, 아이가 더 멀리까지 자기의 뜻을펼쳐 나갈 수 있도록 더 밝은 빛을 내어주는 등대가 되기 위한 노력을 굽히지 않는 것이 바로 우리 부모들이 해야할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의 손을 억지로 끌고 대양을 헤엄쳐 나가려 하기 보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