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크게 멀리 보고 가르쳐라] 서평단 알림
내 아이 크게 멀리보고 가르쳐라
문용린 지음 / 북스넛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IQ (지능지수)를 가지고 어떤 사람의 능력을 말하는 사람은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이라고 할만큼 IQ의 의미는 점차 축소되어가고 있는 반면, EQ (Emotional Quotient, 감성지수, 정서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이나 기사들은 이미 웬만한 사람들의 눈과 귀에 익숙해질 만큼 많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정서지수'라는 말이 어떤 수치의 개념을 강조하는 것처럼 들린다하여 요즘은 '정서 지능 (Emotional Intelligence)'이란 말로 부르고 있다는데, 교육학자 문용린 교수의 이 책은 정서 지능이란 무엇인지, 그것이 왜 중요한지, 어떻게 한 아이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정서 지능을 높여주는 방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이해하기 매우 쉽게 설명이 되어 있다.
정서 지능 과 함께 역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 의 개념이 있는데 이것 역시,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재능으로서 정의해야한다는 것으로서 단순히  지능지수만 가지고는 어떤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정서 지능은 어느 정도 선천적인 면이 있는 능력이기도 하지만, 연습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IQ보다 훨씬 더 부모의 양육 태도나 주변에 있는 형제 및 교육 환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같은 상황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희망적인 면을 보는 사람과 어두운 면을 보는 사람이 확실히 있다. 정서지능이라는 말을 우리가 하는 말로 쉽게 말하자면 '행복지수'같은 것이 아닐까.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아서 좋은 대학에 가는 것이 행복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 실패하더라도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다시 해볼수 있다는 의지를 스스로 불러 일으킬수 있는 능력, 바로 그런 것이다. 아이가 평생 행복하길 바란다면 '마음 다루는 능력'을 먼저 가르치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사실, 아이들만 문제가 아니라, 그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를 비롯해서 현대를 사는 사람들 모두에게 갈수록 더 요구되는 능력이 아닌가 싶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고 헤아릴 수 있는 능력도 정서 지능의 한 단면이라는 말이 새롭다.
그래, 아이를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에 목적을 둘 것이 아니라, 어느 대학에 가더라도 당당하고 나름대로의 즐거움을 찾으며 살 수 있는 그런 사람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부모가 할 일인 것 같다.
이론적인 지식은 많이 얻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라는 구체적인 방법 제시가 좀 미약하다 싶었더니, 그것은 '부모를 위한 정서 지능 다이어리'라는 책으로 따로 나와 있다고 한다.
본문 중에 오자가 심심치않게 눈에 띈 것이 흠이라면 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