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그림, 파는 건가요?
임창섭 지음 / 들녘 / 2004년 6월
평점 :
그림을 그리는 화가라기보다 미술계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본 미술에 관한 이야기이다. 미술이란 무엇인가 같은 근본적인 믈음에서부터, 어떻게 그림을 보는가, 그림이 우리에게 주는 것은 무엇인가, 왜 그림을 가까이 해야하는가, 누가 그림을 사고 파는가, 어떻게 그림을 사는가 등 보다 현실적인 알림책이라고 할 수 있다.
도대체 그림은 무엇인가. 그림의 정의는 계속 변하고 있고 현대미술이라 불리는 것들은 그 범위가 점차 확장되다 못해 지금은 경계와 의미 마저 모호해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디까지가 미술이고 어디서부터가 낙서, 또는 그야말로 장난이냐 하는 문제에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그만큼 현대미술은 기술적인 면보다는 아이디어를 중시한다는 말이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또하나, 학교에서의 미술 교육에 관한 것인데, 미술 시간이란 그리는 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중점을 둔 시간이 아니라, 그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고, 서로 이야기 할 수 있고, 남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시간이 되도록 해야한다는 것, 즉 한마디로 감성을 키우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전적으로 공감한다.
왜 그림을 사는가. 세계 미술계에 영향력있는 인물 100인을 뽑은 일이 있는데 그중의 반 이상이 미술 작품을 하는 화가가 아니라 그림을 사고 파는 화상이라고 한다. 사고 파는 일이 활발히 이루어 질 때 미술계는 더욱 꽃을 피운다는 말이다. 그림을 사는 것은 재산 축적의 수단으로서도 아니고, 즐기고 감상하는 순수한 목적에서 하는 행위여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이 얼마나 현실적인 이야기인지는 그림을 직접 사고 팔아본 경험이 없는 나로서는 잘 모르겠다. 노는 것도 수준이 있다고 하면서, 그림을 구입하는 것은 아름다움을 스스로 확인하는 일이면서 작가들에게 생활을 유지하게 하고 또 다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말하자면 예술가를 후원하는 행위라고. 화랑가에서는 흔히 그림은 돈 있다고 사는 것이 아니라 눈이 있어야 산다는 말을 한단다.
'누가 그림을 팔지'라는 소제목하에 그림값이 책정되는 과정, 그리고 짧으나마 우리 나라 화랑의 역사에 대해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도움이 많이 되었다. 그림값을 사는 사람 쪽에서 매기는 것이 '경매', 파는 사람 쪽에서 정하는 것이 '견본시 (Art Fair)'라는 것도 확실히 구분할 수 있게 되어 다행.
어떻게 그림을 사야하는가. 내가 보기에 좋으면 된다. 친구의 의견을 묻고, 화랑 주인의 확신을 구하고, 그런 것은 모두 미술을 보는 안목이 없기 때문이고 그런 안목목을 키우려면 그림을 항상 가까이 하고 감상하라고 조언한다. 잠깐 휙 훑어보고 지날 것이 아니라, 이리 보고 저리 보면서, 그 그림을 그린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고, 자기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느낌에 귀기울이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라고. 마음의 여유가 없는 자에게 모든 예술은 한낮 일회성 해프닝일 뿐이겠지.
지금까지 모르던 미술의 한 분야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책이었던 것에는 감사하게 생각한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처음부터 끝까지 이 책은 그림에 대한 초보자들의 입장이 아닌, 미술계 현장에 종사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쓰여진 느낌이 여실하다고 할까. 저자의 직책상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나, 누구에게나 아직 서투른 분야가 있고,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기 전까진 누구나 그런 시기를 거치기 마련이기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잘 모르고 서투른 것을 부끄러워 하기보다는 그것을 딛고 차츰차츰 알아가는 재미를 강조하여 쓸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림을 사서 미술계의 후원에 보탬이 되는 것도 그런 작은 한걸음 한걸음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