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발터 벤야민이었던가. 글쓰기를 지식의 향연이라고 말한 사람이.
글을 쓴다는 것은 일종의 소통이다.
직업적 소설가가 아닌, 각자 자기 분야에서, 그 분야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들 열 여덟명의 인터뷰, 그리고 집필 장소를 방문하여 그들의 글 쓰는 스타일을 분석해 놓은 책이다. 자기 분야의 지식이라고 하지만, 논문의 형식이 아닌 대중을 상대로 하는 글을 쓰는데에는, 나름대로의 사명, 책임 의식도 있을 터인데, 정민 교수의 말을 빌자면, 논문을 쓰면 극소수가 읽는데, 조금 관점을 달리해 쓰면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읽어보니, 이들 열 여덟명 들의 공통점도 있고, 각기 개성적인 성향도 있었는데, 공통점이라면 역시 이들 모두 안쓰고는 못배길 사람들이라는 것. 즉, 쓰는 것을 즐기고, 자기 삶의 일부로 여길 만큼 사랑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또 글을 탈고할때 쓰는 방법으로 소리내어 읽어본다는 경우가 꽤 있었다. 그래야 글의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알수 있다면서. 다른 직업 없이 글쓰기만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매일 일정항 시간에 글을 쓰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는 것도 의외였다. 집, 또는 별개의 공간에 수만권에 이르는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저자별로 개성있는 글쓰기 습관으로는, 동양철학 저술가 김 용옥의 경우 어떤 새로운 분야에 대해 배우고 싶을 때에는 책보다 먼저 그 분야의 전문가를 찾아가 배운다고 한다, 책에만 의존하면 위험하며 사람끼리 만나는 것 자체,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하다면서. 자신의 직업은 교수이지만, 하는 일은 만화가라는 이 원복은 가장 애용하는 자료 검증법으로 백과사전 이용법을 들고 있으며, 글 중에 자기 개인적인 이야기를 섞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과학 칼럼니스트 이 인식은, 요즘 국내 과학 출판이 과거 지향, 생물학 치중 풍토화 되어가는 '문제점'이 있다면서, 현재 과학계의 살아 있는 이슈나 기술문제가 중요한데 국내 출판계는 죽은 과학자들의 전기나 '한가한' 동물 이야기만 중복 출판하고 있다고 아쉬워 했는데, 이 말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유감이다. 생명 공학이 과학뿐 아니라 사회적 이슈화로까지 발전해가는 상황에서 생물학 치중 풍토, 한가한 동물 이야기라고 보는 관점이 오히려 편견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과학 저술 분야도 요즘 상당히 넓어졌다고 생각했는데, 아직까지 국내 필자들이 외국의 유명 필자들에 견줘 격차가 가장 믾이 벌어져 있는 분야라고 한다. 사소한 자기 생각들을 챙기는 것이 바로 저술의 시작임을 보여주었다고 필자가 말한 민속문화 저술가 주강현은 모아 놓은 자료들ㅇ르 분류하여 제본까지 해서 보관한다고 한다. 카이스트의 정재승 교수는 대중적인 과학 글쓰기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연합 동아리인 '꿈꾸는 과학'이라는 공동체를 운영해오고 있다고 하는데 얼마전에 재미있게 읽은 <과학해서 행복한 사람들>이 바로 여기서 기획된 책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그 분야에서 편협할 수 있듯이, 전문가의 편협성을 지적한 전통문화 저술가 허균의 말에 이어 갖가지 지식을 엮어서 폭넓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전문가'와 '저술 가능한 전문가'의 차이라는 부분에도 밑줄 그었다.
이 책에 실린 열 여덟명의 이야기도 흥미있었지만, 이 책 저자의 글쓰기 스타일, 조목조목 예리하게 핵심을 지적하면서도 결코 나의 지식을 눈에 보이게 내세우려 하거나 과장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보이는 겸손함이 돋보였던 책이었다.
맨 위에 언급한 벤야민의 말이 다시 한번 떠오르고, 글을 쓰는 사람들, 글쓰기가 삶의 중심인 사람들의 고독하면서도 용기 있는, 그 삶을 즐기는 태도가 살짝 부러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9-06-11 0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저자의 스타일을 매우 멋지게 평가해주셨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