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이 돌아왔다 - 건축가 황두진의 한옥 짓기
황두진 지음 / 공간사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언제부터인가 한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이.
김 서령의 '家' 를 읽어 보았고, 서울 북촌 마을에 다녀 와 보기도 했다. 꼭 우리 전통 가옥이기때문이라기 보다 현대 건축에서 느껴지지 않는 독특한 매력과 품위, 집의 크기나 넓이와 상관 없이 품어 나오는 여유, 단정함이 마음을 끌었다. 언젠가 이런 한옥에 살아 볼 수 있을까 막연한 꿈을 가져보기도 하고.
한옥 관련 책들을 몇 권 뒤적여 보기도 했는데 온전히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이 책이 처음이지 않나 싶다.
'건축가 황두진의 한옥 짓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은 저자가 직접 설계에 관여한 가회동 일대의 한옥들을 실례로 들어 현장감 있는 설명으로 실제 한옥 짓기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되어 있고, 중간 중간에 한옥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이론적인 배경과 함께 잘 어우러놓았다. 건축에 관한 비전문인의 입장에서 읽어도 지루하지 않게 그 흐름을 좇아갈수 있도록 배려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한옥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려하지 않았다는 저자의 의도는 읽으면서도 느낄 수 있었으려니와, 한마디로 '한옥은 실패했다'는 그의 단언에서도 한옥에 대한 그의 진지한 고민을 알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한옥은 '근대화'에 실패했다는 것. 근대화의 과정에서 우리가 버리고 파괴한 것이 어디 한옥뿐이랴. 일단 그러한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개선과 진화의 기회를 부여해야한다는 그의 조용하지만 힘있는 외침이다.
도면없이 짓는다?
한옥은 목수의 머릿속에 집한채가 다 들어있다는 말과 함께 한옥에 대한 신화같은 오해가 있음을 지적하고, 한옥에도 엄연히 정확한 도면이 필요하며, 도면을 경시하는 태도는 궁극적으로 한옥의 발전을 어렵게 함을 얘기했다. 장인의 안목으로만 한옥을 바라봐서는 안된다고. 도면을 악보에 비유하여, 건축에 도면이 있다면 음악에는 악보가 있다고 설명했는데, 실제로 저자는 음악에도 조예가 깊지 않을까 짐작이 될 정도로 책의 여기 저기에 음악과의 비유가 등장한다.
문화재가 아닌 살림집으로서 한옥을 다시 일으키기 위하여 이노베이션을 거치는 과정에서, 그럼  무엇이 한옥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되며 다시 시작하는 아픔에 대한 각오가 있어야 한다는 그의 진지함이 이 책의 매력이기도 하다.
책의 말미에는, 한옥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들, 즉, 맞배지붕, 용마루, 사고석, 부연, 서까래, 막새기와, 주마창, 보, 분합문, 회첨부, 장여, 도리 등을 실제 한옥의 사진과 함께 화살표로 나타내어 가르쳐 주는 친절을 보였고, 한옥의 보편화를 위한 그의 구체적인 제안이 일곱 페이지에 걸쳐  따로 실려 있어, 한옥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게 하였다. 덧붙여 더 읽을만한 책으로 열아홉권의 책을 소개하는데, 단지 책의 제목만의 리스트가 아니라, 대개 어떤 정보를 그 책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간략한 내용까지 소개하는 성의를 보이기도 한다. 이 책에 들인 저자의 공이 마지막 페이지까지 전해져, 뿌듯한 마음으로 책을 덮게 한다.



('건축 이론도 아니고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인데, 이렇게 글도 잘 쓰고, 철학, 역사, 음악적 배경 지식도 많아 보이고 말야...' 
책을 읽다가 같은 전공의 남편에게 말했더니, 그러면 안되냐는 듯한 눈초리가 되돌아온다.
품절이라는 사실이 안타깝기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