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a child is to keep alive his inborn sense of wonder, he needs the companionship of at least one adult who can share it, rediscovering with him the joy, excitement and mystery of the world we live in."

: 어린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갖고 나온 경이감을 계속 살려 나가려면 최소한 그 경이감을 함께 나눌 어른(보호자)이 필요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기쁨과 흥분, 그리고 신비를 같이 발견할 그런 어른이 필요하다”

“If I had influence with the good fairy who is supposed to preside over the christening of all children, I should ask that her gift to each child in the world be a sense of wonder so indestructible that it would last throughout life."

: 내가 만약 모든 어린이의 세례를 관장하는 여신(요정)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면 그녀가 세상의 어린이에게 줄 수 있는 선물은 결코 파괴되지 않고 평생 동안 지속될 경이감이라고 부탁 드리고 싶다” 찡한 감동이 오는 이야기죠? 세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연에 대한 경이감입니다.

“If facts are seeds that later produce knowledge and wisdom, then the emotions and impressions of the senses are fertile soil in which the seeds must grow. "

: 만약 사실(사실적인 것)이 훗날 지식과 지혜를 양산하는 씨앗이라면 우리의 감성과 느낌은 그 씨앗을 자라게 하는 비옥한 토양이다”

 

- 레이첼 카슨의 말. 인터넷 과학 신문에서 퍼왔다.

 

자기 철학을 가지고 하는 일하는 사람은 돋보인다. 그것이 무슨 일이든.( 이건 나의 말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