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천재성을 살려 주는 엄마표 홈스쿨링 - 표현력 훈련 엄마표 홈스쿨링
진경혜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TV에서 이분의 가정을 방문해서 그녀의 아들 '쇼'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보고난 후, 그녀의 책은 다 구해서 읽어보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이전에 나왔던 책들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좀더 실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분야별로 나온 책중 '표현력 훈련' 편이다. 아이들은 천성적으로 자기 느낌과 생각, 요구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태어나고 자라다가, 어떤 계기로 인해 차츰 말을 줄이고, 생각을 숨기고, 내 생각을 알리기에 앞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엿보고 싶어하고 눈치를 보게 된다. 또는 반대로 늘 자기 생각을 과장하여 표현하는 아이로 자라기도 한다. 아이로 하여금 자기의 생각을 올바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려면 부모의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아이의 말을 잘 들어줘야 한다. 아이가 하는 말을 전부 동의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하던 일을 일단 접고 아이가 지금 내게 무엇을 얘기하고 싶어하는지, 무엇을 호소하려 하는지, 어떤 느낌을 엄마에게 들려주고 싶어서 저리도 보채는지, 성실하게 들어주어야 한다. "엄마 뭐 하는거 안보이니?", "그래서 뭐가 어쨌다는거야?", "그게 뭐 그리 대단한 일이라고." 라고 대꾸하거나, 혹은 아이가 말을 하는 도중, 중간에 다른 화제를 꺼낸다거나, 듣는 척하면서 다른 일을 생각하고 있다거나 하는 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
성인이 되어서도 자기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생각이 우선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하고, 그 생각을 뒷받침할 만한 논리가 있어야 하며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얘기했을 때 다른 사람은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을 수용할만한 태도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
언젠가 어떤 사람이 자기의 생각을 일목요연하고 조리있게 얘기하는 것을 듣고 친구와 그런 얘기를 나눈 적이 있다. 우리도그 사람이 말한 것을 막연하게나마 생각 하긴 했었다고. 뭐라고 정리해서 말을 해야할지 몰랐던 것뿐이지. 하지만 보통 사람과 뛰어난 사람의 차이는 바로 여기 있는게 아닐까. 보통 사람은 그냥 막연하게, 머리에 한번 떠오르다 마는 생각을, 몇몇 뛰어난 사람은 그것을제대로 잘 정리하고 편집해서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말 또는 글로 표현할수 있다는 것. 
가장 영향력 있는 학교는 바로 '가정'이며, 가장 영향력이 있는 교사는 부모이다.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일관성 있는 분위기에서 자라는 아이들, 부모의 '말'이 아니라 모범이 되는 '행동'을 보고 배워 익히는 아이들이기 때문에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나온 것 아닐까.
몇 년전 TV를 통해 보았을 때의 느낌도 그러했고, 이전에 나온 책들을 보면서도 느낀 점은, 아이들이 어떻게 뛰어나다고 하기에 앞서, 아이들의 부모, 즉 저자와 그녀의 남편이 이미 보통의 부모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존중해주면서도, 안되는 것은 안되는 규칙이 지켜지는 교육방침, 아이의 일을 무조건 부모가 나서서 도와주지 않는 것, 아이들에게 맞는 학교를 찾지 못해 홈스쿨링이라는 과정으로 아이들 교육을 시키면서 엄마 진경혜씨가 피나게 노력하는 모습 등, 보통 부모들이 머리 속으로 꿈꾸는 일들을 '실천'하고 있었다.
책의 마지막에 나온 '토론 잘하는 아이'에 대한 것은 아마 한국의 모든 아이들에게 특히 부족한 면이 아닐까 생각된다. 상하 전달은 있으나 토론 문화는 아직 어른들 사이에도 제대로 정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사회 분위기 때문이다. 아이가 어리다고 아이와 무슨 토론을 하랴, 덮어 둘 것이 아니라, 신문, 뉴스, 책 등을 접하면서 늘 토론 거리를 찾아내어 기회가 될때 가족과 (엄마, 아빠, 아이) 서로 의견을 주고 받는 기회를 만들어 보는 것, 그 아이디어를 벤치마킹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