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를 좋아하게 된 이유를 언제 한번 추적해보아야겠다. 우연은 아니었다는 것만 기억할 뿐. 신혼여행을 경주로 가자고 제안한 것도 나였지.

군중 속의 고독을 느꼈던 뉴욕. 가지각색의 사람들. 나와 같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둥물원의 동물들 보기보다 더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던 사람들로 꽉 찬 도시. 부와 가난, 에술과 비예술, 성공과 타락, 고급과 초라함이 공존한다고 생각되었던 도시. 첫번 째 방문은 C대학에서 공부 중이던 J를 만나기 위해서였고, 두번째 방문은 Job interview때문이었다.

대전. 스물 몇 살때 집을 떠나 대전으로 이사했다. 일터 따라서.

다리 아프게 참 많이도 걸어다닌 런던. 주말이면 혼자 영화를 보거나, 아니면 런던의 공연을 보는 것이 낙이던 시절.

서울, 서울, 서울. 태어나고 자란 곳에 대한 끌림은 때로는 질려하면서도 끊어지지 않는다. 딱히 이유도 없다. 길들여짐, 편안한, 익숙함의 위력.

내가 태어난 곳, 청량리 위생병원 ㅋㅋ

밤기차를 타고 간 정동진. 지금의 정동진과 많이 달랐다. 그냥 바다, 망망한 바다. 새벽에 도착해서 맞는 바닷 바람은 여름이지만 차가왔다.

콜로라도. 이곳을 어찌 잊으리. 큰 트럭에 남편과 나의 짐을 싣고와 풀어 놓은 Folsom street의 원룸. 거기서 아이도 태어나고, 나는 많이도 웃고 울었었다.

20대 후반에 갔던 태국. 경제적으로 아주 잘 사는 나라는 아니었으나 평화로운 그곳 사람들의 눈매와 표정에 감명받았던 곳. 그들의 표정으로부터 어렴풋이 알아들었다. 물질적인 풍요가 꼭 평화는 아니라고.

아직 가보지 않은 프라하. 여기 언제 한번 같이 가자고, 결혼 전의 남편이 그랬었다. 완전 익명으로 지낼 수 있었던 몇 달이 참 좋았던 곳이라면서.
미래의 이력지 후보로 적어 놓자.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들어가 첫 여름휴가를 보낸 곳은 하와이 이다.
수영복 차림으로 하와이 대학 도서관엘 들어갔었다는 사실. ㅋㅋ

-------------------------------------------------------------------

'침대와 책'에서 저자가 한 것 처럼 따라해 보았다.
빈 칸은 틈틈이 생각날 때마다 채워가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