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훈이의 세계 신화 여행
정다훈 / 휴머니스트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다영이의 이슬람 여행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고등학교 2학년이던 저자 정다영 양이 이슬람 문화권 국가들을 여행하면서 이슬람 문화를 소개하는 기행문이었는데, 꽤 재미있었다. 이책, 다훈이의 세계 신화 여행책을 펼쳐 들면서 혹시나 하며 소개글을 보았더니, 이 책의 저자 정 다훈은 바로 다영 양의 언니. 2004년 여름, 아나톨리아, 이오니아, 안달루시아, 아프리카 북부, 유럽의 미술관 등을 돌아다니며 그 속에 흩어져있는 신화들을 짚어 보았다.
신화는, 알기 전에는 나와 전혀 무관한 이야기에 지나지 않지만, 일단 조금이라도 알기 시작하면 갈수록 점점 더 관심이 커져 감을 느끼게 되는 이상한 분야. 또한 더 알아갈수록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의문이 생기게 된다. 신화 자체가 어떤 상징 덩어리이기도 하지만, 신화가 인간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신화의 흔적들을 보면서 도대체 어디까지가 실화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가, 이런 스토리를 만들어 낸 인간 심연에 자리 잡은, 평소에 우리 인간들도 모르고 지내는 그 바탕은 무엇일까.
신화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그리스 로마 신화가 과연 인류 최초의 신화일까. 이 책을 읽으며 처음 알았다. 성경보다 수백년전에 먼저 쓰여진 그리스 신화. 그 그리스 신화 이전에 수메르 신화가 있었다는 것을. 수메르는 지금의 이라크에 해당하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가리키는데, 여기서 대량의 수메르 시대 점토판이 발굴되고 그 내용이 학자들에 의해 해독되면서 알려지게 된 것이다.
성경의 에덴 동산이라고 알려져 찾아간 곳은 터키의 반(Van). 인간이 선악과를 따먹을 것을 이미 알고 있었을 것임에도 선악과라는 열매에 인간이 접근하도록 만들어놓은 신의 뜻은 무엇이었을까. 저자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답을 내린다. 신은 인간을 창조하면서 자유의지도 함께 부여한 것일거라고. 스스로 결정하고 판단할 수 있는 자유의지 말이다. 어떻게 보면 신화를 해석하고 거기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 또한 신화를 만들어낸 우리 인간의 몫인지도 모르겠다.
서구 세력의 확장에 의해 기독교 문화가 퍼지면서 원래 한뿌리였던 이슬람 문화는 한편으로 묻히게 되고, 그 뜻이 갈수록 왜곡되어 가는 것을 저자는 안타까워하고 있음이 글의 여기 저기서 드러났다.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로 사용되었던 건물이 어느 시점부터 기독교 성전으로 용도가 바뀌게 되고, 오랜 시간 그 지역을 지배했던 이슬람 문화의 흔적은 찾아보기가 힘들게 된 역사의 현장을 발로 확인하면서 드는 생각은 무엇이었을까. 그리스 신화의 흔적들을, 그 현지에서보다 파리의 루브르와 독일의 페르가몬 박물관에 가서 더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강대국의 문화 약탈이라는 점을 들어 한탄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자기의 문화 유산을 지켜내지 못하고 그나마 강대국들에 의해 지금까지 잘 보존되어 올수 있었음을 다행으로 여겨야 옳을 것인가, 씁쓸한 심정이 되어보기도 하면서 글을 마치고 있다.
신화, 그 오래된 이야기들을 사람들은 지금도 무시하지 못한다. 오히려 자꾸 빠져 든다. 잃어버린 꿈이어서 일까. 잃어버린 고향 같은 원형이 담겨 있어서일까. 수메르 신화보다 더 오랜 신화가 또 언제 발굴될지 모르는 일. 신화는 계속 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