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벡터 1
로빈 쿡 지음, 서창렬 옮김 / 열림원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메디컬 스릴러의 대가라는 로빈 쿡. 그는 실제로 의학을 전공한, 의사 출신의 작가이다. 의학 소설이라는 분야를 개척하기에 충분한 자질을 갖춘 셈.
이 소설은 이미 발간된 그의 스무 여 권에 달하는 베스트 셀러 시리즈중 하나로 알려져 있고 1, 2 두 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용은 사실 겨우 며칠 동안에 일어난 일에 대한 것이다. '벡터'란 원래 어떤 유전자를 분리하여 보관이나 조작할 때 삽입시키는, 유전자 운반체를 말하는데, 이 책에서는 소련의 한 병원균을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회사 이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유리 다비노프는 새로운 생활에 대한 꿈을 품고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미국 여성과 정착을 위한 결혼을 하고 택시 운전을 업으로 하며 살고 있으나, 점점 자신의 꿈과 멀어져 가는 생활에 회의를 느껴 가며 언젠가 이 사회에 복수할 기회를 기다리며 살아가고 있는 도중 바로 그 기회를 만나게 된다. 한편 자신의 일에 열의와 책임감을 함께 지닌 뉴욕시 소속 중앙 검시의 사무국의 검시의인 잭 스태플턴은 그가 맡은 한 사건에 어딘가 의심스러운 구석이 남아있는 것을 놓치지 않고 추적해가던 끝에, 탄저균과 보툴리누스 균을 이용한 생물학 무기가 이용될 어느 사건 음모에 연루되게 된다. 결국은 일종의 반전으로 이야기는 끝을 맺게 되는데.
생물학 테러리즘을 주제로 하고 있는 이 소설은 전시가 아닌 상황에서도 얼마든지 생물학 무기를 이용한 대량 살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고 있고, 그 가능한 경로중의 하나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일단 사건이 일어나고 난 후 어떻게 수습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비록 미국의 경우이긴 하지만 소설의 뒷부분에 비교적 자세히 설명이 되고 있어 흥미로왔다.
이미 많이 접해본 스토리이긴 한데, 내용 중 뉴욕시를 상대로 탄저균과 보툴리누스 균을 퍼뜨리려는 음모에 기술적인 공모자로 참여하는 구 소련 출신의 택시 운전사의 무너진 꿈과, 미국에서 외국인을 몰아내고 자신들만의 국가로 재정립하자는 극우파 단체 인민 아리안군의 사상이 합쳐져 계획된 것이라는 것에 눈길이 간다. 이 둘이 가진 힘이 정말 엄청나구나 하는.
책의 내용 자체가 주는 참신함이 조금 부족했다고 생각하여 별 세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