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역사
수키 김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처음 나왔을때부터 웬지 심상치 않았다.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한편 안 읽고 싶기도 했었다. 그동안 이민세대 작가들의 소설들을 몇 권 읽으면서 받은 그 우울한 여운이 재생될 것임을 지레 짐작했기 때문인가보다. 그 예상이 다른 어떤 기대로 바뀌지 않은 채 결국은 이 책을 읽어버렸다. 5년전 일어난 사건의 전모를 추적해나가는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가느라, 400쪽이 넘는 두께의 책장이 어렵지 않게 넘어갔다.
내가 태어나지 않은 나라의 사람으로 적응하고 동화된다는 것은 새삼스럽지만 간단하지 않은 문제이다. 외모의 문제가 아니라, 내 부모로부터 보고 배우고 자란 내 나라의 사고방식과 생활 습관은, 나란 존재의 엄연한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어서, 없앨수 있거나 대체될 수 없기 때문이다.
통역사.
말이 통하지 않는 세계에서 어쨌든 살아남아야 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들의 귀와 입이 되어주어야 하는 직업. 나의 진실을 알릴 수 없고, 내가 사는 세상을 온전히 이해 못하는 채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존재. 5년전 사고로 부모를 잃고 하나 남은 혈육인 언니와의 관계도 단절되어 살아가는 주인공은 교포가 연루된 일에 통역 담당 업무를 하다가 우연히 부모의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하게 되어 부모의 죽음의 동기를 추적해나간다. 그 과정에서 맞닥치는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실들이 소설에 간간히 배경으로 묘사되는 추적추적 내리는 비 처럼 끈끈하고 우울하게 하나 하나 밝혀진다.
저자의 첫 소설이라는 이 책을 영어로 썼을 정도의 수려한 영어 실력을 가지고 있고, 아이비 리그 대학에서 수학한, 얼른 보기에 성공한 이민세대의 프로필을 보여주는 저자가 이렇게 무겁게 소설을 써야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성공한 이민가족의 모습이 아닌, 이런 어둡고 무거운 이야기가 더 실상에 가깝기 때문이었을까. 아니, 성공한 이민 가족의 뒤에는 이런 배경들이 깔려있음을 말하고 싶었음일까.
나는 다만 하나의 소설을 썼을 뿐이라고, 단순한 픽션일뿐이라고, 그런 단 한줄의 후기도 이 책에는 실려있지 않다. 책의 앞장에 부모님께 바친다는 한 문장 외엔.
"학교다닐 때는 인생이 이렇게 단순할 줄 몰랐는데 우습지 뭐니?...(중략) 대학 다닐 때 사년 내내 포크너, 조이스, 데리다를 달달 외우고 다녔는데 이게 뭐야? 십만 달러나 되는 수업료를 낸 학생들한테 그 따위 환상이나 심어주다니 정말 엄청난 사기잖아! 문학이나 의미론 따위는 전혀 상관없어. 이건 아주 한심한 수준의 전쟁이야. 유치한 동료들을 이기고 직장에서 살아남는 방법, 편집장한테 잘 보여서 승진하는 방법만 알고 있으면 된다고. 살아남는 쪽은 머리 좋은 사람들이 아니야. 낯짝 두꺼운 사람들이지. 대학교때 배운 도덕이며 윤리관을 깡그리 잊어버리는 사람들이지. 수단과 방법을 가지리 않고 목적을 달성하는 사람들이지 (258쪽)"
환상이고 사기이며 낯짝 두꺼워야 살아남는 것. 인정한다, 그렇게도 보여질수 있음을. 이 소설의 뒷끝은 그래서 씁쓸하다. 예상했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