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네 권의 책들의 공통점은
재미 한국 교포 작가들의 소설이라는 것 (지금까지 내가 읽은),
그리고 하나같이 무겁고 침울한 분위기라는 것.
그것은 이민세대가 가지고 있는 부인할수 없는 한 단면인가보다.
허상과 실상을 제대로 볼수 있으려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
가능하기는 한 것인가.

어두운 현실을 잊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 것은 이제 다 지난 얘기이다.
파릇할 줄 알았던 성장소설들에서 조차도, 하다 못해 이라부 의사의 <공중 그네>를 읽으면서도 이건 웃으라는 얘기가 아니야...마음이 무거웠었다.

추리소설의 세계로 들어가볼까.
적어도 끝이 확실하지 않은가.


<One thousand chestnut trees by Mira Stout>





 

 

 

 <A gesture life by Chang-Rae Lee>

 

 

  






 

<Native speaker by Chang-Rae Lee>


 

 

 

 <수키 김의 통역사>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재형 2009-08-17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Mira Stout 은 교포가 아니죠. 지금 읽는 중. 저도 "이민세대" 한명인데 뭐 그렇게 침울한 것은 없던데...제가 좀 뻔뻔스러운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