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이 끓는 시간 ㅣ 사계절 1318 문고 19
박상률 지음 / 사계절 / 2001년 7월
평점 :
제목을 '밥이 끓는 시간'이라고 붙인 저자의 의도가 무어라고 말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지만 어렴풋이 전해진다. 밥 때가 되면 굴뚝에 연기가 피어오르고 밥 짓는 냄새가 나는 집, 사람이 사는 집이다. 연기가 피어오르지 않는 집, 밥 냄새가 나지 않는 집, 며칠 동안 창문이 열리는 일이 없는 집, 사람이 드나들지 않는 집은 어딘가 이상하지 않겠는가.
정상적으로는 중학교에 다녀야할 여자 아이 순지는 아침이면 부엌에서 엄마가 달그락 소리를 내며 아침을 준비하고 밥 끓는 냄새가 나던, 그 시절을 그리워한다. 어려운 집안 형편도 형편이지만 이제 네 살이 된 동생을 집에 혼자 둘 수 없어 순지는 학교에 제대로 다니질 못한다. 데리고 가서 교실 밖 복도에 앉혀 놓기도 하지만 추위를 못 이긴 동생은 자꾸만 누나가 공부하는 교실로 들어오고, 선생님의 배려로 교무실에 데려다 놓기도 하지만 그것도 하루 이틀, 아침에 쌀독에 쌀이 있으면 그나마 밥을 짓고, 없으면 배를 곯는 생활. 누구 탓도 하지 않는 어린 소녀는 눈물도 흘리지 않는다. 무심한 듯, 허공에 시선을 두고 있는 한 소녀의 얼굴이 읽는 동안 그려졌다. 새엄마가 아기를 낳고 바로 나가버리자 순지의 마을 사람들은 회의를 통해 갓난 아기는 고아원으로 보내기로 결정한다. 차에 실려 가는 동생을 순지와 네살 동생까지, 울며 불며 못 데려가게 하려고 애를 쓰지만 동네 사람들의 만류에 의해 아기와 이별을 하고. 집을 나가 연락도 없이 몇 해를 떠돌던 아빠가 어느 날 나타나고 순지는 오랜만에 아빠 몫까지 밥을 지으며 실낱 같은 희망을 가져본다.
아직도 전국에 상당수의 결식 아동들이 있다고도 하고, 며칠 전에 TV에서 본 어느 프로그램 생각도 났다. 하루 종일 나물을 팔면 이만원 정도. 그것 가지고 몸이 불편한 할머니께서 두 손자를 키우는데 매일 저녁은 라면이고, 다른 반찬도 없이 손으로 밥을 김에 싸서 허겁지겁 두 어린 아이의 먹는 모습을 보았다. 실로 겸허하고 감사해야할 밥 한 그릇 아닌지. 작가의 가슴 속에 남아있던 어떤 추억이나 경험이 이런 글을 쓰지 않고는 못 배기게 하였을까. 서문에 맨드라미 피는 집에 살던 어떤 소녀에 대한 회상이 나온다.
요즘 청소년들은 이런 소설을 읽으면 어떻게 받아들일까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