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할 당시 보고 싶다 생각만 하고 지나쳤던 영화들 중에 우리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와 'little miss sunshine'이 있었다. 그러다가 '호로비츠를 위하여'는 며칠 전에 이매지님 페이퍼를 보고서, 'little miss sunshine'은 그보다 좀 더 전에 jude님 페이퍼를 보고서 다시 생각났다.

어제서야 보게된 호로비츠를 위하여는 약간 실망, 오늘 본 little miss sunshine은 썩 좋은 영화였다고 생각된다.



 

 

 

 

 

 

 

 

 

 

 

 

 

 

 

'리틀미스선샤인'이라는 제목은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되는 어린이미인대회 이름이다.
이 영화의 올리브라는 어린꼬마가 참가하게 되어 온 가족이 저기 보이는 노란 고물 자동차를 타고 1박2일 여정으로 캘리포니아를 향해 떠난다.
이 가족이 얼마나 웃기는 구성이냐하면, 늘 실패만 하는, 보잘 것 없는 직업의 아빠와, 이런 아빠를 남편으로 두어 스트레스를 받는 엄마, 마약을 상습 복용하는 할아버지,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동성연애자 외삼촌, 비행사가 되는 것이 꿈인, 입을 닫아버린지 9개월 된 오빠, 그리고 아직까지는 명랑 쾌활한, 미틀미스선샤인 대회 출전이 꿈인 어린 딸...모두 낙오자의 타이틀을 달 자격들을 한가지씩은 가지고 있는 가족들이다. 서로 비난하고, 소리지르고, 웃고, 울고, 좌절하고...




 

 

 

 

 

 

 

 

 

 

 

 

 

자기 인생에 도움이 안되는 가족들이라고 서로 생각들을 하고 있지만, 결국 영화에서 전하는 메시지는 가족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 아니었나 싶다. "Whatever happens, we are the family." 평범하기 그지 없는, 엄마의 이 대사가 모든 걸 얘기해주고 있지 않는가.
외삼촌이 조카에게, 한때 total loser였던 프루스트 얘기를 해주면서 prime suffering years에 대해 말한 부분도 비디오를 다시 돌려가면서 몇 번 다시 보았다. 그 사람을 현재의 그로 만드는 것은 행복했던 시간들 (happy years)이라기 보다는, 좌절하고 힘들었던 시간들이기 때문에, 그 시간들을 미워하고, 후회스럽게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보다 더 가슴을 아프게 한 말은 아홉달 동안 입을 닫았다가 마침내 다시 말을 하기 시작한 소년의 말이었다. "Life is one fucking beauty contest after another." 유치원 다음엔 초등학교, 다음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이런 정해진 순서대로 따라가며 정형화된 성공의 틀로 자신을 밀어 넣으려는 현대 사회를, 인생은 이런 바보같은 beauty contest의 연속일 뿐이라고 하는 말이다.

친구중 하나가 하고자 하는 일이 뜻대로 안되는 것에 절망하여 한밤중에 전화를 걸어 하소연한 적이 있다. 내가 무슨 조언을 해줄 자격이 있는 사람도 아니고, 그저 이 말 밖에는 안 나왔다. 그냥 꾸역꾸역 살으라고. 지금 밑바닥을 치고 있는 것 같지만, 꾸역꾸역 그냥 살아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그 밑바닥에서는 벗어나 있는 것을 알게 될거라고.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고...기타 등등 에 대하여 생각을 유보하고 사는 것이 나을 때가 있다. 주어진 삶. 묵묵히, 지금 내 자리에서 내가 할수 있는 일들을 해내며 (이것을 위에서 '꾸역꾸역'이라고 표현했나보다 나도 모르게 ^ ^) 견디어 나가는 것이다. 다른 사람과 비교할 것도 없고, 보상이 있고 없음을 잴 것도 없다. 사람의 인생에는 이렇게 극복해야할 시기가 꼭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을 알아차리고 따뜻하게 껴안아 줄 수 있는 '가족'이 있음을, 있는 사람은 있어서, 없는 사람은 없어서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될 영화이다.

내가 '좋은 영화'라고 부르고 싶은 영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