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를 거닐다
이윤기 외 지음 / 옹기장이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일전에 이윤기의 '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이라는 책을 읽다가 이 책이 언급된 것을 보고 기회가 되면 읽어보리라 생각했었던 책이다.

스물 네편의 짧은 글이 차곡차곡 담겨져 있다. 이윤기, 이철수, 윤구병, 김영동, 전우익, 유홍준, 권정생, 김훈...등등. 해인사에서 매월 발행되는 잡지의 칼럼에 실렸던 글 모음집인데 (저자 중에 목사님도 계시다), 꼭 종교와 관련있는 내용들로 보지 않아도 좋은 글들이, 읽는 동안 한 낮의 더위을 잊고 조용히 책 속으로 빠져 몇 시간을 보내게 해주었다.

인물이 배제된 나무, 들, 산, 꽃, 강물, 길 등의 흑백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잘 어우러져 '자연'에서 배우고 느끼라는 메시지를 주는 듯 했으며, 그러고 보니 책 전체가 먹으로 그려진 한 폭의 동양화 같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싶다.

일상에서 만나는 작은 깨달음이 스물 네 편의 글에서 공통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주제인 듯 하다. 집에서 키우는 개의 목줄을 매어주다가 (이현주), 더럽다고 늘 그냥 지나쳐오던 절 입구의 영지에서 연꽃을 발견하고 (곽병찬), 습관처럼 내다보는 창가에서 놀다 사라져간 새 한마리를 보고서 (이철수), 쏟아지는 빗속에 아이와 키를 맞춰 몸을 구부리고 우산을 함께 쓰고 걸으며 (윤구병), 마을 앞에 꿋꿋하게 버티고 있는 당산나무를 보면서 (권정생), 이들은 어느날 문득 이전과 다른 시야로 보는 눈이 생기고, 마음에 다른 창이 하나 열리니, 이런게 깨달음 아닐런지. 생각이 나 자신에게로만 향해 있을 동안엔 아마도 그런 기회에 접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은데.

끝으로 윤구병님의 글 중 한 귀절이다.
'...사랑이란 궁극적으로 "너 없이는 못 살아"라는 느낌입니다. 너 없이는 못 살지만  널 위해서 떠난다"고요? 그런 것은 유행가 가사에나 나오는 신파요, 사기입니다. 정말 사랑에 빠진 사람은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을 떠날 수 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는 경우가 하나 있기는 합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더 사랑하는 경우입니다...'
음...아직도 생각 중이다, 이 말에 대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