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어 시스터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9
김혜정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8월
평점 :
만화책인가? 했던 표지 그림이다.
두 소녀가 등을 맞대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고 배경 왼쪽과 오른쪽에 외국의 건축물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제목이 디어 시스터. 웬만큼은 내용 짐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표지이다.
이나와 주나 두 자매가 여름 방학 동안 한 사람은 엄마를 따라 태국 치앙마이에, 또 한 사람은 아빠를 따라 독일 베를린에 가서 단기 체류를 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원래 이나와 주나 둘 모두 엄마를 따라 태국 치앙마이에 갈 예정이었으나 둘 사이가 한참 안좋을 시기에 서로 떨어져 있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남자 형제들은 크면서 위계질서가 어느 정도 만들어져 가서 오히려 덜 싸우는지 모르겠으나, 비슷한 나이의 자매라면 정말 자라면서 치열하게 싸운다. 이나와 주나도 그랬다. 결국은 한 집에 못살겠다 지경까지 이르렀을때 마침 그럴 수 있게 된 상황, 즉 엄마 아빠를 따라 다른 도시에서 지낼 수 있게 된 것이다.
둘이는 가끔 안부를 전하게 되고, 그러다가 한 집에 살땐 못하던 속마음 얘기까지 하게 된다. 그중엔 오해에서 비롯된 일도 있었음을 알게 되고, 이나는 주나에게, 주나는 이나에게 한 집에 살땐 모르던 핏줄이기에 느껴지는 아련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기회를 경험하게 된다.
김혜정 작가 하면 청소년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웬만큼 익숙한 이름이 될 만큼 알려진 작품이 많은 작가이다. 작가 자신이 역동적인 십대를 보냈고 기억력까지 좋은 덕에 쓸수 있던 소설이었다고 하는데,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니지만 시작은 그렇더라도 그것이 전부이면 안된다는 말을 들었다. 이야기가 너무 심심하게, 예측 가능하게 흐르게 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서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자잘한 사건들은 있으나 그중 어느 것도 이 소설을 특징지워줄만한 사건은 없이 끝까지 간다.
이렇게 자매가 등장할 경우 둘의 성격은 자매이면서도 아주 다를 것이라는 것도 독자들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고,
주나는 이나와 달리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저길 잘 찾아갈 수 있을까. 가서 뭐 하지, 엄마, 아빠한테 말하면 가지 말라고 할 게 분명한데, 집을 잘 찾아올 수 있을까. 이나가 1단계, 2단계를 넘어 3,4 단계까지 생각한다면 주나의 생각 구조는 1단계 가고 싶다, 2단계 그럼 간다로 간단하다. (136쪽)
이렇게 친절한 설명까지 덧붙여진다.
언니와 동생의 역할, 남자 친구로 인한 교우 관계에서 오는 갈등, 건강 문제로 인한 의기소침 등, 표지 설명처럼 두 자매의 비밀스러운 이야기라고 하기엔 독자를 끌어당기는 힘, 재미가 좀 약하지 않나 싶다.
한편의 소설을 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재미있는 소설을 쓴다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운 일인것 같다. 그게 아무리 작가의 일이라 할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