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말하다 - 있는 그대로의 자유로움, 생긴 그대로의 자연스러움
이상호 지음 / 북바이북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동안에도 몰랐는데 다 읽고 리뷰를 쓰기전 표지를 다시 보니 제목 사이로 "있는 그대로의 자유로움, 생긴 그대로의 자연스러움" 이라는 작은 글씨 한줄이 눈에 들어왔다.

인간은 수정란이라는 하나의 세포로서 시작되는 순간부터 이미 공간을 차지하고 공간을 필요로 하며 생을 지속 시킨다. 있는 그대로의 자유스러움 생긴 그대로 자연스러움이 결국 인간 삶의 본성이라면 왜 인간은 공간을 그렇게 두지 않고 새로이 만들어내고 꾸며내며 살아온 것일까. 심지어는 가상의 공간까지 만들어가며 말이다.

도시공학자인 저자는 이러한 공간을 하나의 관점이 아닌 여러 시각, 즉 열두 가지 학문적 시각에서 바라보며 말하고 있다.

 

1장. 공간 역사학: 공간은 역사를 기록한다.

인간은 수명을 다하면 사라지지만 거주하던 공간은 인간보다 오래 남는다. 그렇게 공간은 역사를 기록하고, 이것은 입지, 시설, 배치, 모양이라는 원칙을 통해 나타난다.

 

2장. 공간 철학: 생각이 다르면 공간도 다르다.

건물과 터전을 보면 그것을 만들고 사용하던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게 마련이다. 책에서 예시한 에벤에저 하워드의 전원도시라는 소도시론과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라는 대도시론은 모두 가난한 노동자의 피폐해진 도시거주 공간을 바꾸려는 시도였다. 두 개의 다른 시도중에서 결국 선택된 것은 무엇일까. 두 가지 주장이 있다는 것은 상반된 것 처럼 보이나 결국 두 의견 모두 그만한 니즈가 있었다는 의미도 된다.

 

3장. 공간 경제학: 공간이 돈을 만든다. 똑똑한 부동산 투자

부동산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리라는건 예상을 못했다. 하지만 분명 공간은 돈으로 연결된다.

 

4장. 공간 심리학: 사람의 심리와 공간

살고 싶은 집은 곧 살고 싶은 삶이기도 하다. 어떤 공간에서 살고 싶으냐는 물음은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라고 묻는 것이다. 압축 성장 과정을 거쳐온 한국 사회에서는 남들처럼 하고, 남들만큼 하고 사는게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남의 눈이 중요한 것이다. 김중업 건축가의 말을 인용하였다. "집이란 어드메 한 구석 기둥을 부여잡고 울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좋은 집이고 집다운 집이다."

저자는 파워포인트에다 틈틈이 앞으로 살고 싶은 집을 설계해본다고 한다. 이미 설계되어 나와서 고르기만 하면 되는 아파트가 아니라 내가 살고 싶은 집을 내 손으로 계획해보는 것이다. 당장은 형편이 안되어도 상상의 날개를 펼치며 할 수 있는 것 부터 하는거라고.

 

5장. 공간 경영학: 여러분이 시장이 된다면 도시를 어떻게 경영하고 싶으신가요?

서울, 파리, 제주, 벤겐 (스위스), 시드니 등 도시의 모습은 같지 않다. 자연과 달리 도시는 인간이 계획하고 꾸며가는 곳, 경영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좋은 도시 경영이란 어떤 것인지 몇몇 도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파리 시민은 느릿느릿 진화하는 도시를 선택했고 바르셀로나라는 도시는 가우디가 얼굴이 되다시피 했다. 근래는 개발이나 관광으로 유명해지기 위해서보다도 거기 사는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자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대구 삼덕동, 서울의 성미산등도 그 예이다.

 

6장. 공간 인문학: 잘 사는 사람의 공간

르 코르뷔지에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건축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그 이름이 익숙할 정도로 유명한 현대 건축의 거장이다. 여기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어머니를 그리며 지은 '작은 집',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낙수장', 르 코르뷔지에가 말년을 보낸 바닷가 '오두막집'을 소개한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낙수장을 통해서는 자연과 건축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추구한 그의 유기적 건축 (organic architecture) 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7장. 공간 정치학: 공간을 둘러싼 권력투쟁

고려시대 묘청의 난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행복도시는 무엇을 주장하여 어떻게 추진되었고 어떻게 막을 내렸는가.

 

8장. 공간 문화학: 지속 가능한 전통 공간의 아름다움

동남아시아의 필로티, 몽골의 게르, 미국 산타페의 어도비, 일본 시라카와고의 갓쇼즈쿠리, 알프스의 파크베어하우스와 함께 우리의 한옥, 서원, 가람을 소개하였다.

 

9장. 공간 사회학: 우리가 사는 공간

슬럼을 대표적인 예로 하여 공간의 사회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본축적과정에서 탄생한 '슬럼'은 도시가 가난해서가 아니라 도시가 부유해서 생겨났다는 아이러니를 담고 있다.

 

10장. 공간 공학: 과학기술이 꿈과 현실의 간극을 좁힌다

또 르 코르뷔지에다. 그의 '빌라 사보아'와 '유니테 다비타시옹'은 현대식 건물 시스템의 출발점이 된 혁신 상품이다. 지금의 아파트의 기원이 되기도 한 이 건축 형태를 통해 사람들은 원하는 공간을 보다 많이, 더 아름답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나아가 미래가 지향하는 공간 이용 방법인 '공간 유동화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공간 유동화가 본격화되면 공간의 용도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공간의 생산자가 곧 소비자가 되는데 이러기 위해선 공간 변환을 위한 기술의 뒷받침은 필수적이다. 공간도 진화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융합이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11장. 공간 디자인학: 같은 터, 다른 느낌. 디자인 코드

같은 공간에서 다른 느낌이 드는 것은 공간 디자인 코드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같은 옷을 누가 입느냐에 따라 느낌이 다르게 연출되는 드레스 코드 같은 것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롱샹 성당, 용산 역세권 개발 프로젝트에 참가한 다섯 개 설계사의 완전 다른 느낌의 설계안, 훈데르트바서의 공간 디자인 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2장. 공간 미래학: 미래의 도시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스마트시티'가 미래도시의 모델로 이야기된다. 스마트시티는 도시공학자인 저자의 전문 분야이기도 하다. 시멘트에 철근을 비벼서 만들던 건물에 정보통신망을 깔고 지식과 콘텐츠를 넣어서 건설하는 것이다. 여기엔 STIM아키텍쳐가 필요하다. STIM이란 서비스 (S), 정보통신기술 (T), 인프라 (I), 운영 관리 시스템 (T)을 말하는데, 미래도시는 STIM에 따라 버추얼 시티, 인포메이션 시티, 와이어드 시티, 지식기반 도시 등 그 이름이 바뀌었다. 2003년 한국에선 '유비쿼터스 시티'라고 불리는 스마트시티 모델이 제안되었다.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재택근무가 이루어지고 통근 통행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저비용의 도시를 경험하게 된다. 태양광을 통하여 집이 에너지를 생산하고 거래하는 친환경의 도시가 만들어지며 자동차를 함께 이용, 주차장도 함께 사용하는 고효율의 공유도시가 된다. 직접민주주의의 도시이다.

 

'공간'이라고 하면 아무것도 없는 백지, 즉 빈 공간이 떠오를수도 있다. 하지만 비어있던 공간은 인간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바뀐다. 저자는 열두 가지 학문적 시각에서 이 공간을 다루어보려고 했고 어떤 사람에겐 이 한 분야가 평생 연구 분야가 되기도 할 것이다. 내용은 전혀 딱딱하지 않고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무엇보다도 공간을 바라보는 저자의 시각이 따뜻하고, 자연스러움과 자유스러움에 대한 인간의 회귀본능 같은 것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일지 모른다.

삽입된 모든 건축물, 도시 풍경, 거리, 도시나 건축물 설계도 등이 사진이 아니라 손그림이라는 것도 이 책을 다른 책과 달리 보이게 하는 이유로 생각된다. 글 만큼 정성과 공이 많이 들어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