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가 노래하는 곳
델리아 오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살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내용인가 보다 작가 소개에 먼저 눈길이 간 책이었다.

델리아 오언스. 평생 동물행동학을 연구해온 학자였던 그녀가 2018년, 70대에 이르러 첫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그리고 아마존, 뉴욕타임스 등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30주 이상 머무르며 인기 몰이를 하더니 2019년 3월엔 밀리언 셀러에 등극하였고 현재는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망라하면 250만부를 넘어섰다고 한다. 북클럽을 운영하고 있는 영화배우 리즈 위더스푼의 격찬이 인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것을 감안한다고 해도 직접 읽어보지 않을 수 없게 만든 것은 평소 즐겨 듣는 팟캐스트에 이 소설을 번역한 김선형 번역가가 초대되어 이 책에 대해 소개하는 것을 듣던 날이다. 한번 읽기 시작하면 놓기 힘들게 가독성이 있다는 것 (잔잔하고 아름답기만 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문학 전공자가 아님에도 문장 표현이 매우 섬세하고 아름답다는 것, 시가 많이 인용되어 번역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는 것, 그러면서 대중의 마음에 꽂히게 하는 그 무엇, 독자들의 인생에 영향을 미치고 도움이 될만한, 베스트셀러들이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는 그 요소가 빠지지 않고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전 정보를 가지고서 구입하여 읽고난 소감은, 이런 정보들이 틀리지 않다는 것이다.

1950년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해안 습지 마을. 엄마, 아빠, 언니 둘, 오빠 둘과 살고 있는 어린 소녀 카야의 이야기의 시작은 결코 행복하지 않다. 가족에 대한 아버지의 무차별적 폭력과 학대를 견디다 못해 엄마, 언니, 오빠 차례로 집을 떠나고, 다만 너무 어려 떠나지 못해 남은 카야는 아버지 눈을 피해다니며 스스로 먹고 사는 법을 배우며 버틴다. 그런 아버지 마저 집을 떠나고 혼자 남게 되자 바닷가에서 홍합을 주워다 마을 상점에 갖다주고 먹을 거리를 얻어오고 습지와 조개, 새들을 친구 삼으며 혼자 사는데 길들여 간다. 말을 할 상대도 없고 말을 들어줄 상대도 없으니 점차 더 고립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고 학교는 하루 나가고 말았을 뿐이다. 행색마저 이상한 카야가 동네에서 가끔 눈에 띨라치면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마시걸이라고 조롱하며 이상하게 볼 뿐이다. 사람대신에 카야에게는 지는 해, 바람, 비, 구름, 물결치는 바다, 새들의 움직임, 소리, 개구리, 반딧불이, 풀숲. 이런 자연 그 자체가 전부였고 그녀의 세상이었다.

다른 생물들도 그러하듯이 사람도 이렇게 계속 혼자 외로움 속에 살 수는 없는 것이다. 혹시나 집을 나간 엄마가 돌아오지 않을까 기다리며 고립 생활이 일상이 된 카야 앞에 어느 날 테이트라는 소년이 나타난다. 길을 잃어 도움을 주게 된 것이 시작이 되어 서로 새의 깃털을 교환하고 테이트가 카야에게 글자를 가르쳐 주며 친해지게 되는데, 테이트가 대학에 진학하면서 그 관계는 단절되고 만다. 여기까지 읽으면 마치 이 소설은 외로운 한 소녀의 성장 소설, 러브 스토리인가보다 생각될 수 있지만 이 소설의 시작 부분은 엄연히 마을의 한 남자가 소방망루 아래 떨어진 채 시체로 발견되는 장면이었으니 범죄 소설, 미스터리 소설일 수도 있다. 이 죽음에 대한 해답은 소설의 맨 마지막에 이를때까지도 알 수 없게 쓰여 있으니 가독성이 있을 수 밖에.

 

제목 가재가 노래하는 곳에 대한 유래는 책 속 몇 군데에서 언급되고 있다. 다음은 테이트와 카야의 대화에서 언급된 대목이다.

"저기 어디 가재들이 노래하는 곳에 가서 꼭꼭 숨어야겠네. 누군지 몰라도 카야를 데리고 가서 키워야 하는 사람들 참 안됐다." 테이트가 만면에 웃음을 띠었다.

"무슨 말이야, 가재가 노래하는 곳이라니? 엄마도 그런 말을 했었어."

엄마는 언제나 습지를 탐험해보라고 독려하며 말했다. "갈 수 있는 한 멀리까지 가봐. 저 멀리 가재가 노래하는 곳까지."

"그냥 저 숲속 같은 곳, 야생동물이 야생동물답게 살고 있는 곳을 말하는 거야." (140쪽)

야생동물이 야생동물답게 살고 있는곳, 즉 자연을 말하는 것이다. 이용되고 있는 자연이 아니라 그대로 존재하는 자연.

다 읽은 후 youtube에서 델리아 오언스 인터뷰를 찾아보았다. 캐나다 국경에 가까운 아이다호 자연 속에서 혼자 살고 있는 그녀는 제목에 대해 책 속에 언급한 것 처럼 실제로 그녀가 어릴때 엄마가 그녀를 숲속에 산책을 데리고 가면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독려하기 위해 하던 말이라고 한다. "Listen to what those woods had to say." 너와 자연 밖엔 없는 그런 곳까지 스스로 멀리 가보면 가재가 노래하는 것을 들을 수 있을거라고.

첫 소설이라고 하지만 그동안 그녀가 끄적거려온 종이들로 꽉 차 있는 커다란 상자를 인터뷰 도중 보여주는 그녀는 좋은 문장이나 표현이 떠오르면 자다가도 일어나 메모를 해놓았다고 한다.

 

그녀는 영리하다. 그녀의 어린 시절, 자연과 생물에 대한 사랑, 그것에 쏟아부어온 동물생태학자로서의 일생을 이 소설 속에 하나로 이렇게 잘 버무려 놓을 수 있다니.

외로움과 고립은 견뎌야 할 상태일지 몰라도 자연스런 상태는 아니다. 누구든 언젠가는 헤어나오고 싶어하는 불가피한 상황이며 상태이다. 이 소설 속에서 카야가 어떻게 그것을 헤쳐나오는지, 누가 가르쳐주지 않고 스스로 벗어나오는 과정과 방법이 궁금하지 않을지.

 

나는 살아있는 동안 가재가 노래하는 것을 들을 기회가 있을지도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