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1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나라에서 그래도 잘 읽히는 소설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김 형경의 소설을 아직 한권도 읽어보지 못했음에 골라든 책이다. 베스트셀러 작가 답게, 그의 소설은 읽지 않았아도 제목은 이미 친숙한데,  이 책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은 특히나 더 한번 보면 잘 잊혀지지 않을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인혜라는 광고 카피라이터와 세진이라는 건축디자이너는 어릴적 부터 친구 사이. 친구 사이라고는 하나 주로 감정의 화살은 인혜에게서 세진에게로 향하고 있고 세진은 완벽주의에, 사람에게 쉽게 정을 주지 못하는 타입이다. 책의 큰 두 줄기는 인혜가 지금 사귀고 있는 진웅과의 데이트를 즐기면서 세진과의 관계, 이혼한 전 남편을 비롯한 그간 사귀었던 남자들과의 관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이야기와, 언제부터인가 자신을 괴롭히고 있는 멈추지 않는 두통과 혼란스러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시작하는 세진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어쩌랴. 스토리 자체 뿐 아니라, 두 주인공 누구에게도 몰입이 되지 않는다. 서로 비슷하지도 않은 인혜와 세진, 두 인물 모두에 대해 공감대 형성이 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작가의 작위성이 지나쳐 자연스럽고 일관성 있는 인물의 묘사가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일지도 모르겠고, 우연성과 즉흥성, 약간은 억지스러움 마저 자주 눈에 띄어 거슬린다는 점이다. 듣던 대로 김 형경은 심리 분석 쪽에 관심이 많은 작가라는 것을 한눈에도 알수 있겠는데, 글 중의 심리 분석과 묘사가 글의 스토리 전개와 그다지 자연스럽게 맞물려 전개되지 못하고 겉도는 느낌이 들었다. 인혜라는 인물의 성격으로 볼때 이혼한 첫 남편 이후로 끊임없이 계속되는 남자들과의 관계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이며, 진웅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그 적극성과 당참은 인혜의 다른 성격 묘사와 어딘지 앞뒤가 안 맞는 느낌이며, 전남편과 이혼후의 마음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과정도 어딘가 작위적이다. 특히 세진이라는 인물에는 작가의 자전적 경험에 많은 부분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하는데, 사람의 무의식 속에 잠재 되어 있는 경험이, 후의 어떤 행동이나 성향을 분석해나가는 바탕이 된다는 것을 말하려 함이 이 소설이 갖고 있는 주된 의도인지, 아니면 소설의 초반에 도입된 대로, 여성으로서 자신도 모르게 남성 위주의 사회에 길들여져 살아가고 있음을 일깨우려함이 더 큰 의도인지, 한권을 다 읽을때까지도 일관성 있게 전달되어오지 않는다. 둘 다 라고 하기엔 두가지 주제 모두 가볍지 않은 것들이기에.

끝까지 읽기는 읽었으나  다음 페이지를 그다지 궁금해하지 않으며 끝까지 왔다. 2권도 읽을 것인가?
아마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