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의 밥상 - 유기농 대표농부 10집의 밥상을 찾아서
안혜령 지음, 김성철 사진 / 소나무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는 것을 보고 남편이 하는 말, 예전엔 다 이렇게 먹었는데 뭐 새삼스럽게 책으로까지 나오느냔다. 예전엔 아마 먹을 것의 종류도 적었고, 저장 방법도 요즘처럼 발달하지 않았었을테니,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테고, 요즘처럼 먹고 싶은 것은 '직접 수고'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돈 주고 사서 먹을 수 있는 시대에도 그 '예전의 밥상'을 고수하는 생활이란 그와는 차원이 다른, '의식'을 가지고  선택한 삶이라는데 차이가 있지 않을까.

이 책에 실린 열 가지 밥상은 모두 비슷하다. 육식보다는 채식, 직접 땀 흘려 키워 제철에 거둔 채소, 절대 분을 넘지 않을만큼만 차려지는 밥상들이다.  이 책의 소제목 처럼 밥은, 평화이자 보약, 하늘, 신명, 나눔, 고집, 느림, 시, 그리고 기도이다. 땅을 함부로 다루다가는 큰일 날 것 같다는 자각으로 산 속에 틀어박혀 유기농사를 짓기 시작한 분, 종교적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농사를 짓지만, 종교가 벽이 아닌 문(門)이 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진 분, 좋은 것 골라 먹고 병 없이 오래 살기 위함이 목적이라는 분은 한 분도 없다. 이들의 밥상은 그저 이들의 사고 방식이 드러나는 생활의 한 단편일 뿐,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겸허한 마음으로 소박하게 살아가는 것에 가치를 두기로 한 사람들의 이야기인 것이다.

뭔가 계속 더 채워나가려고만 하는 요즘의 우리들. 
수고를 아끼고 편함만을 추구하는 우리들.
먹으면서 감사할 줄 모르는 우리들. 

읽으며 어쩔 수 없이 답답해 오는 가슴을 느낀다. 이미 우리들은 이토록 편리함에 길들여져 버렸는데, 다시 옛날의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이 최선인가, 그것이 가능할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산속도 아닌 이 도시 한복판에서 말이다. 아이를 키우며, 내 몸보다 더 신경쓰이는 아이를 먹이고 키우며 먹거리에 대해 신경을 쓰고, 보이는 아무것이나 먹이지 않는 정도로도 얼마나 주위로부터 유별나다는 소리를 듣는지 모른다. 그 소리에 모두 귀를 기울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부심을 느낀다. 이 책을 읽으며 그들의 밥상을 따라하겠다는 생각이 아니라, 그들의 사고방식에 눈 기울이고 귀 기울인다.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배운다. 해 넘어갈 때면 만물이 기도한다는 어느 분의 말 속에 종교를 넘어선 진실과 겸손이 전해온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07-03-30 1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먹거리 책에서 배우는 것이 많더라구요.
섬사이님도 좋은 주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