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작년 알라딘 리뷰에 한참 오르내리던 책 중 하나였다. 올라오는 리뷰들만 읽어보면서 책은 정작 이제서야 읽어보게 되었다. 누가 뭐래도 나는 무척 재미있게,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버스 기다리면서도 읽고, 길을 걸으면서도 읽고, 밥 하면서도 읽고. 하루만에 다 읽고 말았다. 왜, 어디가 그렇게 재미있었냐고 묻는다면 할 말이 없다. 재미있는데에는 이유가 없는 것이다. 마치 작가가 책 속에서 책을 왜 그렇게 열심히 읽냐는 질문을 받으면 이유가 없다, 그냥 좋아서 읽는다고 대답하듯이.

이 책의 두가지 키워드라면 <백수>와 <책>이라고 할수 있는데, 이 책의 주인공은 매일 출퇴근 하는 직장이 없다뿐이지, 그리고 아버지 집에 같이 살면서 '식'과 '주'를 따로 해결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외에는 엄격한 의미의 백수는 아니지 않은가? 주인공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책을 사기 위해, 또 그 외 필요한 다른 경비 정도는 그때 그때 임시직 일을 함으로써 스스로 충당하지 않는가. 책의 제목에서 100% 완전 백수의 이야기를 상상했다면 아마 실망했을지도. 즉, 자신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활동만 하면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자 하는, '무슨무슨 족(族)'이라고 이름붙여 새로운 트렌드가 될 법도 한, 지극히 현대적인 부류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의 이목이 나의 기호나 나의 취향보다 중요하지 않고, 어느 만큼 그로부터 자유로울수 있는 사람. 그 반대의 부류보다 내게는 훨씬 좋아보이는데 말이다.

주인공이 이렇게 백수라 부른 생활을 하게 된 것은 바로 <책> 속에서 인생의 모든 생,노,병,사 문제를 해결한 것처럼 보일 정도로 그 책읽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사람을 사귀어 그 사람에 대해 알고 그 인생에 대해 알기까지 우리가 투자해야할 시간과 노력과 웃음과 눈물에 반해, 책을 읽음으로써 알아가는 인생은 그 모든 수고를 단축시킨다. 책 읽는 동안, 이 세상의 시끄러움에서 어느 정도 동떨어져 나만의 세계에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알 것이다. 책과는 별개로 책 읽기 라는 활동의 의미를.

고만고만한 소소한 일상의 얘기 거리에 지나지 않다고 할지 모르나, 한 문장 한 문장 시시함을 느낄 틈을 주지 않는다. 주인공뿐 아니라, 그 주변 인물 모두, 그 중 어느 누구를 주인공으로 해도 괜찮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다만, 공부를 하지 않아도 전교 1등을 도맡아 하여 아무대학 아무과나 갈수 있었다는 설정이나, 책을 전해받다가 애인초기 단계로까지 발전해가는 관계의 어색함 등, 빠져 읽는 내 눈에도 뜨이는 몇가지가 흠으로 보이긴 했으나 못견딜 정도는 아니었고.

마지막, 1인칭 시점으로 쓰여진 이 소설의 주인공은 과연 그녀의 말대로 솔직한 타입의 사람일까?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그리고 본인은 이 생활이 만족스럽기만 하다고 계속 얘기하고 있지만, 느껴져오는 삭막함과 쓸쓸함. 역시 책은 책일 뿐인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