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5분의 여유가 인생을 결정한다
아놀드 베네트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아놀드 베네트 라는 19세기에 살았던 영국의 문필가가 쓰고, 박 현석이라는 분이 '편역'을 하였다고 되어 있는 책인데, 편역이라는 것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궁금하다. 읽다 보면 거의 편역자 자신의 저술인 것 같은 느낌의 글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책 중에 명시되어 있는 것도 아니니. 이런 식의 책을 내는 출판사의 의도가 궁금하다. 박 현석 이라는 분에 대해 의의를 제기하는 것은 아니다. 참신한 내용은 아니었지만, 생각할 기회를 주는 내용도 있었으므로.

아침의 5분을 강조한 책들은 이미 여러 권 나와 있다. 이 책도 역시 아침 5분이 하루 전체를, 그리고 인생 전체를 얼마나 다르게 바꿀 수 있느냐 하는 얘기부터 시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5시에 일어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친절하게 가르쳐 주기까지 하면서 말이다.

누가 뭐래도 아침형 인간인 나 같은 사람은 안다. 아침 시간이 주는 그 평화와 자유와 여유를. 그래서 이른 새벽 눈이 떠질 때 굳이 더 잠을 청하려고 하기보다는 가뿐하게 자리에서 일어나는 즐거움을. 하지만 나는 굳이 모든 사람이 아침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내가 작정하고 아침형 인간이 된 것이 아니듯이 사람에 따라서는 그것이 주는 가치보다 더한 스트레스로 받아들여질 경우가 있을테니까. 자기에게 맞는대로 살면 되지 않을까.

전체적인 책의 주제는 한마디로 시간관리에 대한 것이라고 할수 있는데,  시간에 이끌려 살지 말고, 시간을 계획하고 주도하며 살라는 얘기에는 공감한다.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잡혀지는 약속, 스케줄에 끌려다니다 결국 '하는 것 없이 바쁘다'라는 말을 하게 되는 것 아닐까. 하는 것 없이 바쁘고 싶지는 않다. 차라리 하는 것 없이 여유를 즐기는 것이 낫지. 그런 점에서 이 책에서는 일주일중 며칠, 퇴근 후 일정 시간,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자신을 위해서 쓰는 시간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또한 이 시간에 자신의 의지에 따라 무엇을 해도 좋지만, 소설책 읽는데 시간 전부를 쓰지 말라고 충고하고 있다. 맞다고 동의는 하지 않았지만 그렇게 말하는 저자 (혹은 편역자)의 의도는 알 것 같아서 그냥 빙그레 웃으며 읽었다.

분명히 읽고 도움이 되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