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힘 - 아이의 천재성을 키우는
진경혜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어머니라는 자리는 아이를 낳았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아이들이 필요로 할 때 그 자리에 함께 있을 수 있어 가치가 더해지는 것이 바로 어머니라는 자리일 것이다 (본문 215쪽).

내가 리틀 아인슈타인이라는 별명이 붙은 '쇼 야노'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몇 년 전 그에 관해 만들어진 TV프로그램을 우연히 보고서였다. 미국의 그의 가정을 탐방해서 그의 생활을 취재해 보여주는 프로그램이었는데 그때 쇼는 귀엽게 생긴 아주 어린 소년이었다. 얼마후, 동네 도서관에서 그의 어머니 진경혜씨가 쓴 책을 발견하고 읽어보았는데 아들에게 맞는 교육기관을 찾는데 실패하자 집에서 홈스쿨링으로 아들 쇼를 지도하는 얘기, 아홉살에 대학에 입학한 얘기, 그리고 엄마의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교육에 대한 신념과 원칙이 책장마다 전해지는 책이었다. 이 책에는 딸 사유리에 관한 얘기는 살짝만 언급된다. 오빠와 마찬가지로 홈스쿨링으로 교육받고 있는 동생 사유리도 오빠 쇼에 못지 않은 영재성을 보인다는 정도. 몇달 전에 이 엄마가 두번째 책을 내었다는 소식에, 다른 것보다도 그 두 남매가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안 읽을수 없었다. 책을 대한 순간, 이제 열 다섯이라는 나이도 나이지만, 부쩍 커있는 쇼의 표지 사진에 우선 탄성을 내었고, 이제 그 오빠 옆에서 당당히 한 몫을 하는 여동생 사유리의 야무진 모습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흐뭇해지기까지 했으니.

결혼하고 나서 한동안 아이가 없어 기다림 속에 세월을 보내다가 생긴 아들, 그리고 생각지도 않고 있다가 보너스처럼 생겼으나 임신 기간 내내 너무 힘들어 남편에게 유서까지 써 놓았다가 힘겹게 나은 딸. 이 엄마가 오로지 아이들에게 바란 점이 있다면 '행복한 사람'으로 키우고 싶다는 것이었단다. 신에게 받은 가장 귀한 선물이라고 여기며. 행복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 좋은 인간관계를 가질수 있도록 가르쳤고,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가르쳤고, 내면의 독립성을 가질수 있도록 가르쳤으며 마지막으로 아이에게 창조성을 주기 위해 TV, 비디오, 인터넷 보다는 가족끼리 미술관, 박물관에 가며 함께 시간을 보냈으며 책과 가까이 지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노력했다. 창의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길러지는 것것이라 생각하고, 정답은 하나가 아니라는 점을 의식하며 가르쳤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역시 알수 있었던 것은, 이런 부모들이 아이들을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서, 그리고 영재로 만들기 위해서만 특별히 어떤 교육을 했다기보다는, 이런 가정의 돌아가는 사정을 들여다보면 보통의 가정과 확실히 틀리다는 점이다. 일관성 있게 지켜지고 있는 원칙이 있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극한 관심을 한시도 꺼뜨리지 않았다는 점, 관심을 빙자해 아이들의 의견이 무시되고 강압적, 일방적으로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들 부모는 자식들에게 존경받는 부모였다는 점이다. 다른 누구로부터 듣는 찬사보다, 자식으로부터 우리 부모를 존경한다는 말 한마디 들을수 있다면 그 사람의 인생은 헛되지 않은 것 아닌가. 올바르고 건전한 원칙이 있으면서, 아이들의 창의성과 자신감을 살려줄수 있는 가정이란, 무한정의 사랑만 쏟아붓는다고 이룰수 있는 것도 아니며, 물질적인 풍족함으로 채워질 수 있는 것은 더구나 아니다.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엄마의 힘. 엄마는 정말 신이 내준 자리인가.

아이들에게 생각없이 아무 말이나 툭 던지기 전에, 나는 어떤 부모인가 생각해보자. 아이를 키우며 내가 큰다는 것은 바로 이렇게 끊임없이 반성할 기회를 아이들로 하여금 계속 제공받기 때문이리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2-07 15: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07-02-07 16: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주신님, 감사합니다. 제가 가장 부족한 부분이랍니다.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다잡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