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3 - 1부 3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3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작은 독수리였을까 작은 늑대였을까, 어여쁜 꽃, 구슬 같은 차갑고 맑은 빛, 서희는 그런 온갖 것을 벌써부터 지니고 있는 듯 싶었다 (106쪽)

 

저런 이미지의 사람을 본 적이 있던가. 이제 열한 살이 된 서희를 묘사한 부분이다.

아들 최치수를 교살한 범인을 밝혀낸 것은 윤씨부인이었다. 윤씨부인의 심문에 말려들어가 덜미를 잡힌 김평산은 관청으로 끌려가 처형되고, 살인을 도운 혐의로 칠성 역시 처형된다. 다만 배속의 아기를 생각해서 귀녀는 해산까지 투옥되었다가 아들을 낳은 후 죽는다.

남편 칠성이 처형된후 아이 둘을 데리고 홀연히 평산리를 떠났던 임이네가 3권에서 다시 마을로 돌아오고, 월선과의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으로 애달아하는 용이는 엉뚱하게 임이네와 사이에 아들을 낳는다.

호열자 (콜레라)가 온마을을 쓸어 김서방을 시작으로 윤씨부인, 봉순네, 강청댁을 포함해 마을을 초토화 시키고, 열한살 서희는 최참판가의 유일한 혈육으로 남겨진다. 부인과 아들까지 데리고 최참판가에 와있던 조준구는 이 기회에 최참판 집안의 재산을 차지하려는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어려서 부모의 정을 제대로 못받고 자란 것도 모자라 집안의 기둥이던 할머니까지 잃은 서희는 호락호락하지 않은 성격이지만 아직은 어린 나이. 수동, 길상, 봉순이 그나마 서희를 보호하기 위해 똘똘 뭉친다.

세사람의 공동전선은 더욱 견고해졌다. 그들은 매일매일 적진속에서 서희를 지키듯 긴장해 있었으며 표정은 삭막하였고 도사리는 맹수의 자세 같은 투지에 차있었다. 그들은 여전히 세사람사이에 다른 어떤 누구도 끼워주려 하지 않았다. (...) 최참판 댁 안의 별당은 한개의 성이며 봉순이는 전령병이요 수동이와 길상은 결사대 같은 것이었다. (367쪽)

 

업친데 겹친격 쌀농사에 보리농사까지 흉년이 들어 평사리에는 굶어 죽는 사람까지 생겨나자 인심은 흉흉해진다.

'세상에 별놈의 죽음이 다 있지마는 굶어 죽는 것 같이 애참할까. 농사를 지어 곡식을 거둬들이는 농사꾼이 더 많이 굶어죽는다. 와 그러꼬? 풀 한 페기 뽑아본일이 없는 놈들이사 어디 굶어 죽던가? 와 그러꼬?' (387쪽)

굶주림에 시달리다 부인은 먼저 숨이 끊어졌고, 그것을 모르는 서서방은 자신도 역시 곧 마지막 순간을 맞을 것을 알면서도 말은 안나오고 다만 부인을 보살펴달라는 듯 손으로 부인을 가리켜보이는 것을 옆에서 목수 윤보가 지켜보며 마음속으로 하는 말이다.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야 할때 작가는 지문 처리보다는 마을 사람들끼리 주고 받는 대화를 주로 이용하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런데 그 대화도 어찌나 자연스럽고 마음을 쓸어내리게 하는지. 주변인물이 빨래하면서, 밥 지으며, 지는 해를 바라보며, 배를 기다리며,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대사 한줄도 작가는 많이 고심하며 썼겠구나 생각하며 읽는다.

책을 읽으며 내용뿐 아니라 이런 생각까지 하며 읽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