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영화까지 만들어져 나오고 한참 지난 후인 이제 이 소설을 읽었다. 역시 답답한 역사였고, 역시 소설가 김훈이었다.

명나라를 받들어모시고 있던 조선은, 명나라를 제치고 오랑캐 (후금)가 세운 신흥강국 청나라를 명나라와 동시에 인정할 수 없다는 분위기였고, 이것이 괘씸하기도 하거니와 명나라에 대한 자국의 위상을 떨치고 싶었던 청나라 군대가 조선땅을 침범해 들어오는 사태를 맞는다. 이에 대해 청나라 군대에 맞서 제대로 싸워 이땅에서 쫓아내는 액션을 취하기 보다는 조용히 돌아가주기를 바라며 강화도로 피신해갈 생각을 한 조선. 그나마 강화도 가는 길마저 청나라 군대에 의해 위태로와지자 강화도 대신 들어간게 남한산성이다. 1636년 12월 14일에서 1637년 2월 2일까지의 일이다.

나라를 살리기 위해 청나라를 인정하고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는 주화파와 (최명길), 죽으면 죽었지 오랑캐 나라 청나라에게 굴욕을 당할 수 없다는 척화파 (김상헌) 사이에서, 우유부단하고 결정장애의 왕 인조는 고민만 하고 정작 모든 중대한 결정은 대신들의 몫으로 넘겨버린다. 마지막 청나라 황제의 최후통첩에 대한 답신마저 직접 못쓰고 여러 대신들에게 나눠주며 써오라고 명령하는 대목에서는 그 극을 보여준다.

기존 세력국과 신흥 강국 사이에서 눈치보고, 패싱당한것 아닌가 뒤에서만 말 삼기 좋아하는게 어쩌면 지난 역사이기만 할까. 이 소설을 읽은 독자라면 아마 공통적으로 느낀 점 아닐까 한다. 그래도 치욕이건 굴욕이건 살아남았다는 것, 끊이지 않고 연명해오고 있다는 것, 이것도 저력이면 저력이라고 해야할지.

소설의 내용이야 이미 알려진 역사 이야기이니 기승전결 궁금해하며 읽는 긴장감은 없었지만 김훈의 문장력은 그 긴장감을 대신하고도 남았다. 그 유명한 "꽃이 피었다"와 "꽃은 피었다"의 차이. 이 책의 앞에서 작가의 말 끝에도 그는 역시

2007년 4월

다시 봄이 오는 남한산성에서

김훈은 쓰다

라고 썼다.

그냥 "봄이 오는" 이 아니라, "다시 봄이 오는" 이라고, "김훈이 쓰다" 가 아니라, "김훈 쓰다"라고.

이 소설에서도 그는 과연 문장에 목숨을 건 작가 같았다. 이런 문장을 쓰는 작가가 앞으로 또 나올까 싶을 정도로 공들인 문장들. 대놓고 멋부림을 자제하고, 은근히 발견되길 바라며 부리는 멋. 감정을 억누른 듯한 문장들.

그런데 그게 가끔은 드러나게 보이는 곳이 눈에 띄었으니, 그때는 차라리 평범한 문장보다 더 눈살이 찌푸려진것도 사실이라고 고백해야겠다. 이것도 일종의 작가가 빠질수 있는 매너리즘이 아닐까.

반전 필수 스토리 아니면 복잡한 인간 심리가 소설의 반은 먹고 들어가는게 유행 같은 요즘 소설 중에서, 오랜만에 읽는 맛이 있고 멋이 깊은 소설을 읽었다. 오랜만이라는게 유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5-27 08: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18-05-27 11:15   좋아요 2 | URL
그렇군요. 절대로 머리 속에 번쩍 하고 떠오르는 문장들은 아니라는게 눈에 보여요. 오래동안 고심하고, 어떻게 하면 더 멋지고, 격 있고, 절색의 문장을 쓸 수 있을까 고심한 흔적. 아마 그것도 일종의 작가 고유의 멋내기 방식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