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애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3월
평점 :
품절


'쾌락과 고통은 저울 양 끝에 놓인 추와 같다. 초콜릿을 한 조각 먹으면 다음 조각이 또 먹고 싶어지고, 괜찮은 책, 영화, 또는 비디오 게임이 영원히 계속되길 바라는 순간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순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우리 뇌의 균형은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쾌락이 아니라 고통 쪽으로 기울어진다.'(p6, 머리말 중에서)  『도파민네이션』은 뇌가 쾌락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처리하는지를 신경과학과 뇌과학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 균형 찾기는, 욕망의 과학을 발견의 지혜와 결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도파민네이션

Dopamine Nation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찾기

애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흐름출판



「도파민네이션」 은 경쟁주의, 능력주의가 만들어낸 피로사회에서 도파민으로 버텨내면서도 그 중독의 심각성을 미처 깨닫지 못하는 우리들에게, 쾌락과 고통 사이에서 더 좋은, 더 건강한 균형점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는 책이다. 약물이든 쇼핑이든, 관음증이든 흡연이든, 소셜 미디어든, 우리 모두는 하지 않았으면 하거나 후회하는 행동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특히 소비가 우리 삶의 동기가 된 세상에서 강박적 과용에 대처하는 과학적 처방을 제시하고 일상에서 쾌락과 고통을 관리하는 실천적 방법이 담겨있다. 


넓게 봤을 때 중독(Addiction)은 어떤 물질이나 행동(도박, 게임, 섹스)이 자신 그리고/혹은 타인에게 해를 끼침에도 그것을 지속적·강박적으로 소비·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중독은 우리의 삶이 윤택할 때도 점점 커지는 강박적 과용의 문제를 가리킨다. 




우리는 모두 고통으로부터 도망치려 한다. 어떤 사람은 약물을 복용하고, 어떤 사람은 방에 숨어서 넷플릭스를 몰아본다. 또 어떤 사람은 밤새 로맨스 소설을 읽는다. 우리는 자신으로부터 관심을 돌리기 위해 거의 뭐든지 하려 든다. 하지만 자신을 고통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이 모든 회피 시도는 고통을 더 악화시킬 뿐이다


- p62




결핍의 공간에서 풍요가 넘치는 공간으로 바뀐 오늘날, 쾌락과 고통의 관계는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나는 아직 무언가에 중독된 적이 없다' 라고 자신하는 이들에게 '스마트폰은 컴퓨터 세대에게 쉴 새 없이 디지털 도파민을 전달하는 현대판 피하주사침' 이라고 넌지시 이야기하기도 한다. 중독 가능성을 측정하는 보편적인 척도로 활용되는 도파민은 쾌감·즐거움 등에 관련한 신호를 전달해 인간에게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이다. 그리고 인간의 뇌는 쾌락과 고통을 같은 곳에서 처리한다고 한다. 


2부의 첫 시작인 4장에서는 DOPAMINE 이라는 단어로 '나와 중독을 이해하는 7단계' 를 풀어낸다. 도파민이라는 영어 단어로 설명하는 이 구성체계는 기억하기에 쉽다. 저자는 이를 처음에 치료 목적으로 만들었지만, 스스로의 일상생활과 습관 만들기에도 적용하고 있다고 부연한다. 


D는 데이터Data : 너 자신을 알라

O는 목적Objectives : 핑계 없는 무덤은 없다.

P는 문제Problems : 중독의 악형향을 찾아라

A는 절제Abstinence : 30일의 인내

M은 마음챙김Mindfulness : 고통 들여다보기

I는 통찰Insight : 진짜 나와 대면하기

N은 다음 단계 Next Steps : 중독 대상과 새로운 관계 맺기

E는 실험Experiment : 중독과 친구가 되는 법



이어지는 5장에서는 중독 관리를 위하 3가지 접근법을 제시하고, 6장에서는 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두 가지 얼굴을 소개하며, 인간의 온갖 고통을 약물로 없애려면 댓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알린다. 그리고 3부에서 약물 대신 시도해볼 수 있는 대안으로 '고통 받아들이기' 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난 뭔가에 중독되고자 하는 현대인의 기호에 대해 가끔 궁금해지는 부분이 있다. 우리가 중독에 빠지는 이유는 혹시 신체가 살아 있음을 느끼기 위해서는 아닐까 하고 말이다.'(p185) 라고 운을 떼며 굳이 몸을 움직일 필요가 없어진 오늘날의 삶의 모습을 지적하며 움직이고, 고통을 마주할 것을 주장한다. '워커홀릭' 에 대한 일침도 잊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가끔은 한 번 일을 시작하면 그만두기 어려울 때가 있다. 깊은 몰입의 '흐름'은 그 자체가 마약과 같다. 몰입은 도파민을 분비하고 특유의 도취감을 낳는다. 이러한 무아지경은 부자 나라에서는 큰 보상을 보장한다. 하지만 이것이 우리가 친구와 가족과 맺는 밀접한 관계를 가로막는다면 인생에서 덫이 될 수 있다.


- p205



우리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어떻게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균형을 지키며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저자의 의학적 조언들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지침들이다. 물론 균형을 찾아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 보상은 즉각적이지도 않고 영원하지도 않으며, 보상을 얻으려면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더라도 회복을 위해서는 '당장 영양가 없어 보이는 지금의 행동들이 실제로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축적되고, 이것이 미래의 언젠가 나타날 거라는 믿음' 을 가져야 한다고 다독인다. '피하려고 하는 대상에서 도망치지 말고, 그 자리에 멈춰서 방향을 바꾸어 그것을 마주하기'(p277) 부터가 첫걸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