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 미술관 - 20가지 키워드로 읽는 그림 치유의 시간
김소울 지음 / 타인의사유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챙김 미술관

20가지 키워드로 읽는 그림 치유의 시간

김소울 지음

타인의사유


실제로 사회적으로는 용납되지 않거나 인정되지 않은 욕구를 예술과 같은 다른 활동으로 바꾸어 충족하는 것을 승화(sublimation)라고 한다. 승화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기초한 개념으로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기제 중 하나이다. 젠틸레스키는 타시와 사회에게 표출하지 못했던 원망, 분노, 그리고 살인의 욕구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미술작품이라는 가치 있는 형태로 변화시킨 것이다. 


- p174, 3장 <스스로를 괴롭히고 있지는 않나요>




적군인 앗시리아의 장군 홀로페르네스를 만나 술을 만취하도록 마시게 하고 머리를 베어 나라를 구했던 영웅적인 여성 유디트는 화가들이 즐겨 그렸던 인물이다. 통상적으로 남성 화가들이 그려내던 유디트는 소극적이고 유약한 경우가 많았으나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Artemisia Gentileschi) 가 그려낸 유디트는 훨씬 더 강하고 힘이 있어 보이는 여성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적극적이고 확신에 찬 표정으로 적장의 목을 베고 있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젠틸레스키는 카라바지오가 여성을 소극적으로 그린 것은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성에 대한 선입견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여자가 남자를 단호하게 죽이는 장면 자체를 사회가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p171)


젠틸레스키가 유디트를 이렇게 강하게 그려내야 했던 과거의 경험은 유디트의 얼굴에 자신의 자화상을, 홀로페르네스의 얼굴에는 응징하고 싶던 남자의 얼굴을 그리게 했다. 고통스러운 그녀의 과거를 향한 강한 몸짓 또한 담겨있다는 것. 수록되어 있는 그림을 들여다보다보면 그녀가 어떻게 트라우마를 극복하기위해 애를 썼는지 절절하게 느껴진다.


트라우마의 회복은 과거의 그 시간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을 현재로 가져오지 않는 데서 출발한다. 그때의 사건들, 상황들, 상처받은 나 자신을 그 시간에 그대로 두고 오는 것, 그리고 과거가 존재함을 인정하고 현재의 새로운 도전들을 받아들이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 그것이 트라우마로부터의 건강한 회복을 이끌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