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지구법정 1 자모사이언스 20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영역의 기초를 차근차근 읽는 김에 이번에는 「지구과학의 기초」 편을 읽는다. 역시 목차를 먼저 보면서 키워드부터 살핀다. 지구과학의 기초에서 다루는 지식은 대기권, 지진과 화산, 풍화, 대륙 운동, 날씨, 기압, 바람, 바다, 달과 우주, 태양계 등의 단어로 표현되는 것들이다. 아이가 좋아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먼저 경험한 것들이 많기에 친숙할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초등 저학년 때부터 배우게 되는 것이 이 분야이기도 하다. 교과서적인 어려운 단어가 아니더라도 날씨, 바람, 달, 우주 등에 대해 넌지시 들려주며 아이들이 주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끄는 분야다. 




과학공화국 지구법정

과학공화국 법정 시리즈 - 04

1. 지구과학의 기초

(주) 자음과 모음



유튜브로 편집 영상을 종종 찾아보는 아이는 <런닝맨>에 나오는 여러 상식 퀴즈들을 좋아한다. 자신이 알고 있는 문제가 나오면 좋아하다가도, 모르는 것이 나오면 기억하려고 애쓴다. <런닝맨> 에서 '단어 맞히기 퀴즈' 가 나왔을 때 아이는 이 단위가 무엇인지 몰랐다. 






" 이거 기압의 단위잖아. 헥토 파스칼! 일기예보할 때 자주 나오니까 알아두면 좋다. " 이 한마디로 아이의 존경어린 눈길을 받다니. 좀 뿌듯하다. 


기압이란 공기가 누르는 압력입니다. 압력이란 힘을 넓이로 나눈 것이므로, 

기압은 단위면적에 공기가 작용하는 힘입니다. 

- p179






[기압과 관련된 사건] ,  '토네이도 비상사건' 중에서


 「과학공화국 지구법정」 의  「지구과학의 기초」 편에서는 '토네이도 비상사건' 에서 기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에피소드는 [기압과 관련된 사건] 에 포함된 이야기다. 사건의 개요를 살펴보면, 사이언스 시티에서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던 조기압씨가 아이들을 데리고 체험학습을 나갔다가 토네이도에 휘말려 아이들이 다친 사건이다. 




지구법정에서는 우선 토네이도가 무엇인지부터 설명한다. 용오름이라고도 불리는 토네이도는 미국 등에서는 자주 발생한다. 미국에서는 육상 용오름을 토네이도라고 부르고 해상 용오름은 워터스파우트로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주는 아니지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21.10.02일 오전 울릉도 앞바다에서 관측된 '용오름'./사진=기상청


「오즈의 마법사」 에 나오는 트위스터(Twister) 를 생각해보면 된다. 도로시가 회오리바람에 집과 함께 휩쓸려 오즈의 나라로 가버리지 않았던가. 


토네이도는 아주 빠른 속도로 공기를 밀어냅니다. 토네이도가 집을 덮치면 지붕 위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밀려나 지붕을 누르는 압력이 줄어듭니다. 반면에 집안 공기의 압력은 일정하니까 지붕을 위로 미는 압력이 지붕을 누르는 압력보다 커지게 되죠. 그래서 지붕이 날라가고 집안에 있던 물체들이 솟구치게 되는 것입니다. 




The wizard of oz 의 한장면


교과서와 연계된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코너에서 hPa(헥토파스칼) 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평소에는 관심이 없었을 지도 모르는 녀석이 런닝맨 덕분인지 꼼꼼하게 살핀다. 




 


얼마 전 드디어 우주여행 시대가 열렸다. 올해 7월,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의 블루 오리진과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최고경영자(CEO)의 버진 갤럭틱이 고도 100km 언저리까지 수 분간 도달하는 우주여행에 성공했다. 억만장자들의 우주관광에 이어 민간인들로 구성된 '인스퍼레이션4' 팀도 저궤도 우주여행을 다녀왔다. 그 과정은 5부작 다큐로 만들어져 넷플릭스에서 방영했다. 유튜브에서도 'inspiration 4' 로 검색하면 다양한 영상들이 검색된다.  


책에서는 9장에서 [달과 우주에 관한 사건] 에서 우주에 대해 슬쩍 이야기하고, 10장 [태양계에 관한 사건] 에서 수성과 금성, 목성 이야기를 들려준다. 





다음 권이 「천문」 편이니 우주에 관심이 있는 아이라면 자연스럽게 다음 권을 이어 읽게 될 것이다. 꼭 순서대로가 아니라도 아이의 흥미에 따라 골라 읽어봐도 좋은 구성이다. 다만 과학 분야는 발전 속도에 맞춰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개정판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