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와 메모광
정민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스스로를 가르켜 활자중독이라고 일컫는데, 이처럼 나같은 사람은 지금도 마찬가지고 오래전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지금에서야 활자중독이라고 표현하지만 다른 표현으로 보자면 책벌레도 맞는 말이다. 하루에 조금이라도 짬이 날때면 책을 펴고, 책을 읽고, 책에 대한 생각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것을 보면. 나 또한 다른 이들로부터 책벌레라는 말을 듣고 싶기는 하다. 책벌레라는 게 조그만 알갱이처럼 생긴 벌레가 아니던가. 오래된 책장에서 책을 꺼내어 펴보면 조그만 알갱이같은 책벌레들이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책 속의 글자들을 파먹고 사는 벌레, 나도 한낱 미물인 그 책벌레라 일컬어지고 싶다.  

 

  과거 조선시대의 책벌레라고 하면 이덕무를 빼놓을 수 없다. 이덕무라면 온기 하나 없는 차가운 냉골방에서 책읽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던 인물이다. 옆집에 살았던 노인은 혹시나 얼어죽지나 않았는지 걱정하고 자신의 마당을 쓸때 이덕무의 마당까지 쓸고 신발까지 눈을 털어 가지런히 놓아주곤 했다는 일화를 보고는 마음이 뭉클해졌다. 온기라고는 하나도 없는 방에서 책을 읽는 목소리. 이웃집에서건 이덕무 형제들의 낭랑하게 울려퍼지는 책읽는 소리에 귀기울이며 흐뭇해 했을 것도 같다.  

 

  장서인이라고 할것 까지는 없지만, 나도 한때 책을 구입하면 내 이름이 적혀진 책도장을 꼭꼭 찍고는 했었다. 이 좋은 책이 내 책이라는 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은 마음. 아니 나 혼자서라도 내 책이라는 인증서 같은 것이었다. 책을 사랑하는 이들은 책에 대한 사랑때문에 이처럼 장서인을 찍는 경우가 많다. 오래전 우리 고서 속에서도 그랬었다는 걸 이 책으로 인해 알 수 있었다. 저자가 하버드 대학교 엔칭도서관에서 1년 동안 머물때 한, 중, 일의 책자들을 살폈는데, 각 나라마다 장서인을 찍는 경우가 조금씩 달랐다는 것이었다.

 

  한국의 경우, 책을 자신이 가졌을때는 자신의 이름이 있는 장서인을 찍었다가 팔때는 혹시라도 자신의 가문에 누가 될까 자신의 장서인을 도려내고 팔기도 했다는 것이었다. 물론 자신이 책을 구입했을때 다른 사람의 이름을 파고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장서인을 찍었다는 것. 일본의 경우는 전에 찍혀져있던 책에 대한 인연의 말소라는 글을 새겨넣었다는 것이었다. 중국은 큰 나라답게 이전 주인의 장서인에 손을 대는 법이 없이, 다른 사람의 장서인 옆에 자신의 장서인을 찍었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고서에서도 장서인에서 책을 소유한 사람들의 이름이 길게 늘여져 있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아마도 내 기억이 잘못된 것일까.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것은 학자들이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이덕무를 꼽는다는 것이다. 가난했지만 어느 누구보다도 책을 사랑했던 이덕무이기에 그런 것 같다. 가난한 이덕무는 지인들에게 책을 빌려 보았는데, 보고 싶은 책이 있으면 책 주인에게 책을 베껴써주며 읽었다고도 한다. 책을 베껴쓸때는 책 주인에게 줄 것과 자신의 책을 포함해 두 권의 책을 베껴썼다. 지금의 이덕무를 우러른 것은 아마도 오랜 세월 베껴 써주다가 식견이 풍부해져서 학문의 안목이 열린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베껴 쓰기가 요즘엔 필사로 대신해서 좋은 시詩나 소설을 베껴쓰는 게 유행이기도 했다. 짧은 단편을 필사해본 적이 있었다. 그저 눈으로 책을 읽는 것과 필사하며 책을 읽는 것은 느낌이 확연히 달랐다. 일단 필사를 하게 되면 눈으로는 책을 읽고, 입으로 말하듯 읽으며, 손으로는 글씨를 쓰는 세가지 읽기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렇게 세가지 읽기법으로 하다보면 그 책에 대한 느낌은 어마어마하다. 깊이 있는 책읽기가 되는 것이다.

 

  또 한가지의 책읽기를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가 메모의 역할이다. 저자는 『옹기』라는 책과 『독기』라는 책을 소개하며 메모법에 대해 말한다. 경전에 대한 메모와 역사에 대한 메모를 달리해 메모를 옹기에 담았고, 메모가 쌓여 순서를 정해 묶으면 가제본 형태의 책이 된다는 말이었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도 메모를 하지만, 보통의 우리같이 책을 쓰지 않는 사람은 대부분 메모지를 버리거나 책 속에 꽂아 두거나 한다. 책을 다 읽고 난뒤에는 메모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는 수가 있다. 다산의 위대한 학문 뒤에는 체질화된 다산의 메모의 습관에 있었다고 했다. 수많은 메모가 그의 학문의 자산이었던 셈이다.

 

  이웃분 중의 한 분이 독서를 할때 동시다발적으로 몇 권의 책을 읽는다고 하셨는데 나는 그 방법이 참 부러웠다. 집중력이 좋아지는 방법으로 동시다발적 독서가 좋다는 말을 들었으나 집중력이 짧아 시도를 해보았지만 중도에 포기한 적이 있었다. 홍석주의 동시다발적 독서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조금씩 습관처럼 반복하는 책 읽기는 뜻밖의 효과를 거둘수 있다는 말도 했다. 다시 한번 실천해봐야겠다.

 

  마지막으로 이덕무의 구서재 라는 것에 대해 말하여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구서재라는 것은 책과 관련된 아홉 가지 활동이 이루어지는 집이라는 뜻이다. 

 

첫째, 독서. 입으로 읽고, 눈으로 읽고, 손으로 읽었다.

둘째, 간서. 눈으로 읽는 것.

셋째, 초서. 책의 중요한 부분을 베껴가며 손으로 읽는 것.

넷째, 교서. 잘못된 부분은 없는지 살펴보아 교정해가며 읽는 것.

다섯째, 평서. 책의 인상적인 부분이나 책 전체에 대한 감상과 평을 남기는 일.

여섯째, 저서. 남의 책을 읽는데 그치지 않고 제 생각을 펼쳐보이고 싶어지는 것.

일곱째, 장서. 책을 보관하는 것.

여덟째, 차서. 남에게 책을 빌리는 일.

아홉째, 포서. 책에 햇볕에 쬐어 말리는 일.

 

  이덕무의 구서재를 실천한다면 완전한 책읽기가 될 것이다. 이처럼 될 수 있을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5-12-02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서평 써야하는데~~~

정완기 2016-01-28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서인에 관한 각국의 세태를 알게 해주셨군요. 헌책만이 장서인을 발견할 수 있어 아쉽지요. 홍대입구 서교동 길가에서 헌책을 구입했는데 유명인사의 서명이 적혀있더군요. 혹 도난품이 아니지 의심됐지만 그냥 구입했죠.중년에 장서인을 새겼는데 그것도 게을러져 장서인을 안찍게 되더군요. 전서로 새겨진 장서인이 빨간도장에 찍힌 흔적이 매력적이죠. 첫 댓글에 말이 많았군요,.

비로그인 2016-02-09 1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책읽기에 게을렀는데, 추운 골방에서 항상 책을 읽었다는 학자 이덕무 얘기를 듣고 보니 부끄러워지네요. 시를 쓰는 사람으로서 소설이라도 부지런히 읽어야 할 것 같아요. 좋은 문장을 많이 읽다보면 좋은 시들이 써지겠지요. 다독,다작,다상량이 좋은 글과 시를 쓰는데 있어서 하나의 시금석이거든요. 책을 읽으면 메모를 해 두었다가 서평을 남겨야 겠습니다. 하나 하나 쌓이다 보면 필력이 늘어나 있겠지요. 건필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