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 지음 / 야간비행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강유원에 대해서

www.armarius.net 에 들어가본 이들이 꽤 있을 것이다. 꽤 쓸만한 서평을 읽을 수 있고(요즘은 좀 뜸한 듯하다), '어떤 공부를 할 때 어떤 책부터 읽어야할까'에 대해서 고민이 있을 때 그 해결책을 나름대로 얻을 수 있는 홈페이지다.

강유원을 안 지는 꽤 되었으나, 그냥 왠지 모를 그의 '꼬장꼬장함'에 이상하게 정이 가지 않았고, 그냥 철학자, 그리고 좀 탄탄한 글을 쓰는 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의 저술들을 올해 조금씩 읽었을 때(그의 manuscript를 읽고, <<책과 세계>> http://blog.aladin.co.kr/hendrix/1713643 를 읽고 나서) 부터 그가 가지고 있는 이상한 아우라, 혹은 힘을 느끼게 되었고, 또 그가 보여준 실용적으로 즉각 사용할 수 있는 공부법(예를 들면 3공 노트의 사용법)에 대해 알고 또 따라하게 되면서 강유원에게 더욱 주목하게 되었다.

'교양', '독서', 그리고 <<책>>

한동안 지식의 축적에 굉장한 허기를 느끼고 있었다. http://blog.aladin.co.kr/hendrix/1718148 물론 그 매개가 되었던 현재도 실행되지 않고 있는 '퀴즈 영웅' 프로젝트 때문이었지만, 덕분에 90% 정도의 비율로 매일 신문을 정독하게 되었고, '교양'에 대해서 말하는 책들을 예전에는 흘깃 스치고 지나가다 이제서 읽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일전에 디트리히 슈바니츠의 <<교양>>을 읽었다. 방대한 유럽의 역사, 그리고 문학, 미술, 음악, 지성사에 대해서 풀어놓는 그의 매력보다, 그가 말하는 '교양'과 그것을 획득한 방법에 더 끌리곤 했다.

"교양은 자신의 문명화에 대한 아주 폭넓은 지식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문화가 사람이라면, 그 이름은 교양이 될 것이다."(p.566) "교양은 문화적인 소양이 있는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어색하게 남의 눈에 튀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이다."(p.567) "즉 교양지식은 단지 정보의 총합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장기놀이에서와 같이 게임 규칙과 정보의 혼합이다. ... 장기판의 모양과 범위와 말들의 숫자와 고유의 길에 대한 이해다."(p.575)

"초보자는 일등급의 학술서적과 삼등급의 돼지가죽책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만 귀중한 시간을 대학의 값싼 생산품 때문에 낭비하지 않게 된다."(p.623) "서점에서는 "그냥 구경 좀 해도 되겠습니까?"라고 분명하게 한마디만 하면 된다."(p.624)

그리고 강준만의 <<한국인을 위한 교양사전>>(http://blog.aladin.co.kr/hendrix/1709615)을 읽고 "이거 뭐야?"라는 생각을 했었다. 주저리 주저리 시의적 이슈들을 늘어놓은 책에 대한 반감이랄까?

<<책>>을 읽기 전 마지막으로 읽은 이정우의 <<탐독>>(http://blog.aladin.co.kr/hendrix/1718148)은 굉장한 도전으로 다가왔는 데, 이유는 단순했다. 내가 모르는 게 너무 많고, 그걸 알기에 길이 까마득해 보였다는 거다. 이건 다독으로 극복하려면 굉장한 에너지가 필요한 그런 것이었다. 학문의 횡단. 너무나 아득하지만 꼭 정복하고 싶은 유토피아로 보였다.

이런 책들을 읽고난 후에 잡은 <<책>>은 또 좀 다른 '책'이다.

그가 www.armarius.net 에 올려놓은 서평들의 모음이다. 사실 다운받아서 읽을 수 있지만, 난 아무리 생각해봐도 아날로그 인간인 게, 굳이 웹상에 올려놓은 글도 다시금 뜯어보기 위해서는 꼭 출력이라는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출간이 되어있으면 산다.

성대 앞 '풀무질'에 갔다가 '월척'으로 이 책을 낚은 것을 보면 그렇다. 남들 같으면 그냥 다운 받아서 봤을 수도 있겠다(책값이 없는 독자들이여 다운 받아서 프린트 해서 보시길).

<<책>>에서 강유원의 독서의 지도를 명쾌하게 잡아내기는 어렵다. 왜냐면 단편적인 서평들의 모음이고 목차를 아무리 쳐다봐도 '무순'임에 틀림없다. 그냥 "시간순이었을까?" 라는 추측 뿐이다.

아마 다치바나 다카시였다면, 시간순으로 읽은 책들을 정리하면 그가 읽었던 주제들의 순서가 나올 것이다. 그는 언제나 자기에게 주어진 프로젝트에 맞춰서 책을 몇 meter 단위로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유원이 이 책에서 어지러이 주제들을 늘어놓는 다 하여 그가 '어지럽게 생각'이 늘어져 있는 사람은 아니다. 몇가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전공이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이었던 점에 약간의 알리바이를 둘 수 있겠다.

그가 읽는 책들은 주되게 사회과학과, 역사 책들이라 할 수 있으며, 그가 주로 찾아내는 주제들은 그 책들의 주제의 빈도에 따라 '파시즘', '민족주의', '현대자본주의', '미국', '서양 지성사' 등에 걸터있다.

약간의 맥락을 가지고 이야기하자면, 현대 사회를 읽어내기 위해 '파시즘'과 '미국', '현대자본주의'를 살펴보고 그 근저에 있는 서구의 사상의 흐름을 읽어낼 필요가 있던 게 아닐까?

책을 읽으면서 강유원이 정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 데, 그는 변명을 한다는 게 한편으로 좀 웃겼다.

"나는 책을 좋아해서 읽는 사람이 아니다. 책읽기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는 게 내 생각이다. 노는 게 인간본성에 맞는 거 아닐까. 그냥 빈둥거리는 거 말이다. 예전에는 궁금한 게 많아서 책을 읽었는데 요즘에는 그렇지도 않다. 무식하다고 손가락질 받을까봐 책을 읽던 시절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걱정도 별로 없다. 모르면 어떠랴 하는 거다. 왜 책을 읽냐고 누가 물어보면 '그냥 읽는다', '심심해서 읽는다', '안 읽으면 할 일이 없어서' 등이 적절한 답이 아닐까 싶다."(p.295)

하지만 '그냥 읽는자'라 말할 수 없는 까칠한 그의 비평이, 그의 '날서있음'이 자꾸만 그의 글에 손이가게 한다.

이제 넘어설꺼다. 이제 내 공부를 할 구상이다. 하지만 그 성실함과, '주례사식 비평' 따위는 집어치고 있는 강유원에게 배워야 할 건 아직도 많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eme 2008-01-31 0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산적 책읽기50도 좋았는데 언젠가 이것도 읽어봐야겠군요^^;

헨드릭스 2008-01-31 0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원래 '생산'과는 좀 떨어져 있어서요~~ 이 책 괜찮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