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의 문제
이마 이치코 지음 / 시공사(만화) / 2000년 8월
평점 :
품절
이마 이치코의 초기 단편들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그 외피가 소프트 야오이라는 치장을 두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오이물 특유의 과도한 감정 남발이나 탐미적인 색채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오히려 작가는 작품의 기본적인 영역, 플룻의 직조에 더 신경을 쓰면서 인물들의 개인사와 얽히는 안타까움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그것은 대표작이라 할만 한 [백귀야행]에 와서 가히 점입가경이라 할 정도의 플룻 상의 복잡함과 관계에 대한 성숙한 통찰로 드러난다.
그런데 그녀의 작품군에서 드러나는 공통된 안타까움의 근거는 어디에서 비롯되는 걸까. 그것은 그녀가 정서적으로 소외된 이들을 자신의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 야오이물들의 게이들이나 [백귀야행]에서의 귀신들, 그리고 귀신을 보는 이들 모두, 자신들에게만 통용되는 질서와 세계를 갖고 있는 이들이다. 그렇기에 그들은 대다수 사람들이 사는 세계와는 조금은, 혹은 한참 유리된 세계 속에서 서로 간의 관계로, 혹은 그들을 이해하지 못 할 '보통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상처 받고 치유 받기를 반복한다.
이 작품, [어른의 문제]는 메인스트림에 올라와서도 꾸준하게 병행 작업을 하고 있는 소프트 야오이 장르에 대한 작가의 친숙한 애정의 산물이다. [백귀야행]에서 복잡한 구조 속에서도 여유있는 개그씬들을 통해 센스 있는 유머 감각을 유감없이 보여줬던 작가는 얽힐대로 얽힌 가족들이 등장하는 이 작품을 한바탕 소동으로 가득한 유쾌한 소품으로 만들었다.
언뜻 보면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 싶을 정도로 서로가 서로에게 어긋난 형태로 이어져 있는 이 특이한 관계의 연속들이 일그러져 보인다거나 억지로 꾸며낸 것처럼 보이지 않고 오히려 대단히 활기 차고 즐겁게 보일 수 있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그들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더없이 따뜻하다는 점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게이든 원혼이든, 소외된 그들이 내재하고 있는 비극을 세심한 안타까움으로 치환할 줄 아는 작가의 정감 있는 시선은 여기서도 빛을 발한다. 복잡하게 꼬이는 플룻은 여전하지만 그 복잡함은 잘 만든 그녀의 단편들이 그렇듯, 어지럼증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 또한 미덕일 것이다. 결국은 어떤 형태로든 각자의 해피엔딩을 갖게 되는 이 콩가루 가족 이야기는 애정과 관용, 그리고 가족애가 가진 힘에 대한 달콤한 신뢰가 만들어내는 즐거운 승리를 매력적으로 변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