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시가이 7 - 완결
시무라 타카코 지음 / 세주문화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우선 말하고 싶은 것은 이 작품의 원제는 섹시가이라고 하는 저 천박한 곡역이 주는 느낌은 전혀 들어가 있지 않은, 직역하자면 문지방의 주인이라고 써야 한다는 사실이다. 문지방은 말그대로 방과 바깥의 중간에 걸쳐 있는 경계다. 과연 그 경계의 주인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여기엔 여러 소년 소녀들이 나온다. 하나같이 막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그제껏 세상을 다 알고 있는 듯 하면서도 정작 중요한 일이 닥치면 어쩔 줄을 몰라하는, 문제에 대한 쿨한 해결 수단이라고 하는 것이 기껏해야 의욕없는 포기의 결정으로나 드러나는 조숙하지만 사려 깊진 않은 소년 소녀들. 학업과 진학이라는 제도적 고통의 가장 가장자리에 머무르면서 꿈도 희망도, 그렇기 때문에 장차 짐작 가능한 즐거움도 가지지 않는 아이들. 이 아이들은 말하자면 '타고난 패배자'들이고 작가는 그런 그들을 그려냄에 있어서 더없이 사실적인 태도를 취한다. 얼마나 사실적인 지경인지 이건 일상을 거의 그대로 종이 위에다 찍어낸 것 같다. 중학교를 마치고 고등학교를 거치는 동안 아이들은 사랑하고 갈등하고 미워하고 섹스하고 떠돌아다니고를 반복하지만 그 모든 일들은 금방 일상의 평범함, 지리함 속으로 순식간에 편입되어 버리는 일들이다. 방황이라고 해봤자 기껏해야 차를 타고 무작정 옆도시로 가서 어디로 가야할지도 몰라 내내 빙빙 돌다가 결국은 집으로 돌아온다던지 학교를 빼먹고 하루종일 동시상영관에서 시간을 보낸다던지 하는 게 전부인 이 아이들은 제목에서 문지방으로 상징되었던 것처럼 현재의 경계에서, 미래의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내내 갈팡질팡한다. 그 과정에서 보여지는 (얼핏, 지루함을 동반하는) 사실성은 작가가 이 '타고난 패배자' 아이들을 바라보는 자신의 시선을 그대로 노출시킨 결과이기도 하다. 이 지리한 일상 속에서의 한심한 모험으로 가득한 에피소드들은 모노톤이 강조되는 작가의 스타일리쉬하면서 정감있는 작화와 어우러져 건조한 아이들의 일상성을 잡아내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개인적으로는 무척 좋아하는 작품일 수밖에 없는 것은 이 안에서 보여지는 아이들의 모습이 그 때의 내 모습과 너무도 흡사하다는 점 때문이었다. 그 지리함, 아무 것도 찾을 수 없는 막막함이 체질화에 가깝게 적응이 되버린 시기를 응시하는 작가의 시선은 지금까지 봤던 성장 드라마와는 정반대의 의미에서 대단히 현실적이다. 이 갈팡질팡 청소년기를 보낸 인물들은 모든 것이 지나간 다음에도 자신들이 놓쳤던 것을 찾을 생각을 못한다. 그것 또한 일상이기 때문에, 그 상실에 대한 무감함마저도 받아들였기 때문에, 여전히 문지방에 서 있는 아이들은 자라지 않는다. 그 어쩔 수 없는 건조함과 체념의 정서를 느껴야 한다는 건 제 목을 조르는 짓이다. 그러나 나에게 마조히즘적 경향이 있다는 것 또한, 증명 가능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4-07-23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을 것 같아요. 장바구니에 담습니다. 문지방에 서 있는 아이들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