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짐이 많아서 이북을 기다리고 있다가, 언니한테 사달래야지, 하고 주문해 놓았다. 기다리는 중이다.
1. 표류사회
쎄인트(saint)(https://blog.aladin.co.kr/bp/nurimaru)님이 남긴 북플 소개글을 보고 따라 들어간 책 소개를 보고 읽고 싶었다.
대학시절 페미니즘을 만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점점 멀어져 지금 저녁마다 논어를 따라 쓰고 있는 내가 생각하는 어떤 지점이 언어화되어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한국철학을 전공한 여성학자가 아이를 낳아 기르면서 페미니즘을 만나서 한국사회의 여성인식에 대해 썼다.
서구 페미니스트의 세상인식에 뜨악해지던 나의 어떤 날들이(https://blog.aladin.co.kr/hahayo/10530930, https://blog.aladin.co.kr/hahayo/12131800, https://blog.aladin.co.kr/hahayo/12575630) 정연한 말로 표현되어 있을 것을 기대하면서 기다리고 있다.
2. 젠더
서양 페미니스트의 책에서 느끼는 생경함은 이분법적 학문의 구조를 그대로 따른다는 데 있다. 남자와 여자, 육체와 정신, 그게 언어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말이지, 실상은 하나하나 만나면서 정의해야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 나는, 남자와 여자라는 말의 이분법이 확장되어, 나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라고 주장하거나, 자신의 정신이 만만찮게 우월하다는 주장을 하는 건 기이하다고 생각한다.
보부아르는 육체와 정신의 이분법을 스스로에게 확장하여, 그 이분법에 더하여 위계까지 받아들여서는 여성의 육체적 제약을 무시하는 말들을 거침없이 쏟아놓고, 여느 남성학자들이 하는 것처럼 여성들을 착취했다고 생각한다.
버지니아 울프는 육체와 정신의 이분법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주는 어떤 한계를 받아들이는데 실패한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여성과 남성, 육체와 정신,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 사이에 위계라는 것은, 서양철학이 가져온 지금까지의 기반이라고 생각하는 나는, 이반 일리치의 젠더 책 소개를 보고 읽고 싶었다. 나는 일체성에 대해 말하던, 에코 페미니즘에 고개를 주억거리는 태도로, 도대체 어떻게 각각을 떼어놓겠다고 아무 말이나 한다는 건가. 생물학적 성과 문화적 성을 구분하려는 시도의 무용함에 대해 말하는 책이라고 한다. 신체를 벗어놓을 수 없는데, 내가 내 육체의 제약 안에서 사고하는 게 뭐 어때서? 그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거지.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