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서와 조선의 눈물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가 김종서라는 인물을 기억하는 것은 '4군 6진'을 개척한 장군으로 알고 있다. 그 후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의 빌미를 제공한 역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역사만 알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가 세종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던 최고의 문신이자 그 시대 최고의 학자였으며 수양대군의 야욕을 막고 단종을 보위할 수 있는 최후의 보류였다는 사실을 알게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라는 것이 승자의 왜곡된 기록에 지나지 않음을 다시 깨닫게 된다. 오래간만에 읽게 된 이덕일 선생의 역사서 [김종서와 조선의 눈물]은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김종서라는 인물에 대한 역사적 진실을 파헤치고 권력욕에 빠진 수양대군의 명분없는 쿠데타인 계유정난이 조선의 역사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헤친 역작이다.
두 차례의 왕자의 난으로 집권한 태종은 재위기간동안 그 원죄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그의 정치는 조선의 역사를 모두 뒤져봐도 비교대상이 없을 정도로 백성을 위한 정치였다. 그는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성군중의 하나였다. 태종이 세상을 떠나는 순간까지 가뭄으로 고생하는 백성들을 염려하여 해마다 5월이면 비를 내리겠다고 유언했다고 하고 그 유언대로 5월초에는 비가 온다고 한다. 해마다 그 시기에 내리는 비는 지금도 '태종우'라고 불린다. 골육살쟁의 콤플렉스릉 가지고 있던 그는 자신의 후대에는 그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기 위해서 온갖 악역을 자청했다. 세종이 최고의 성군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태종이 자신의 처남들은 물론 세종의 장인인 심온까지 제거하면서 외척과 종친이 넘볼 수 없는 강력한 왕권을 구축했기 때문이라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대호'라는 별칭을 가진 김종서는 세종시대에 변방을 개척하고 지킨 북방의 맹주였으며 성균관 유생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은 최고의 학자였다. 그는 문관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무관도 하지 못했던 북방개척을 이루었으며 올곧은 선비의 모습으로 그 시대 사대부들의 모범이 되었다. 7년에 걸친 북방의 생활에서도 개인의 생활 보다는 국가를 위한 충성을 다했고 세종의 옆에서 '고려사'를 편찬하는 등 최고의 문신의 역할도 해냈다. 그는 태종,세종,문종,단종의 시대를 걸쳐 문무를 겸비한 최고의 신하이며 학자이고 선비였다.
세종이 세상을 떠난 후 문종이 즉위했으나 석연치 않은 죽음을 당하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조선은 또 하나의 피바람을 준비하게 된다. 태종의 손자이자, 세종의 아들이며, 문종의 동생이고, 단종의 숙부였던 수양은 스스로 왕이 되고자 하는 욕심에 사로 잡힌다. 어린 단종의 운명은 위태로웠으며 단종의 보위를 지킬 수 있는 이는 오로지 김종서 뿐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종서는 결국 선제공격을 하지 못한다. 유학을 배운 학자로서 자신이 모신 주군의 손자이며, 아들이며, 동생이며, 숙부인 수양을 먼저 공격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 결과 계유정난이 일어나고 김종서는 수양에게 목숨을 잃게 된다.
계유정난은 세조의 권력장악의 의미만 가진 것은 아니다. 태종이 모든 악역을 자청하며 정리한 공신들이 무더기로 다시 탄생하는 시발점이 된다. 공신들이란 아무것도 하는 것이 없이 백성들에게 폐혜만 끼칠 뿐이라는 점에서 악영향은 상상을 초월한다. 태종이 애써 만들어 놓고 세종, 문종이 확고히 만들어 두었던 유교정치릐 체제와 정상적인 국정운영의 방식을 한꺼번에 무너뜨리고 조선을 다시 공신들의 나라, 파행적인 국정운영이 이어지는 나라, 끊임없이 피바람이 부는 나라로 만들어 놓은 역사적 사건이다. 김종서의 죽음과 함께 조선의 이상인 유학정치과 정상적인 헌정질서가 무너지게 된 것이다. 태종의 피바람은 조선의 기틀을 다지기 위한 것이었다면 수양의 피바람은 자신들의 권력욕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에서 조선의 비극이 있는 것이다.
결국 그 하룻밤의 운명이 이후 300여년에 걸친 조선의 역사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역사의 만약은 없지만 김종서가 미리 수양을 견제할 수 있었다면, 사육신의 단종복위 시도가 성공했더라면 조선의 역사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책의 제목에서 '조선의 눈물'을 이야기 하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이덕일 선생이 말하는 '조선의 눈물'의 의미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나 또한 안타까움은 느낀다.
역사를 읽는 이유는 과거의 역사에서 현재의 상황을 비춰보고 교훈을 얻기 위해서다. 수양이 자신의 권력욕을 위해 정상적인 헌정질서를 파괴했기 때문에 조선이 짊어져야 했던 역사의 무게를 본다면 지금의 위정자들 또한 언제나 자신의 권력에 대한 욕구에 대한 자제를 가슴속에 품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위정자들의 자세이기 때문이다.
단종의 시대에 왜 장군(?) 김종서가 영의정에 있었는지에 대해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강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