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과 게 - 제144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히가시노 게이고, 미야베 미유키, 오쿠다 히데오 등의 일본 소설을 읽으면서
어느새 내 눈에 익숙해진 문학상이 '나오키 상'이다.
우리나라 문학상은 하나도 모르면서 일본 문학상의 이름까지 알게 된 이유는
수상작들이 언제나 내 기대를 넘어서는 이야기를 풀어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소설의 작가는 처음 들어보지만 나오키상을 믿고 선택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내가 생각했던 이야기는 아니지만 나름 느낌이 있었다.
소설은 초등학교 5학년 3명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시골에 내려오고 아버지의 죽음과 학교에서의 왕따에 외로운 아이 신이치,
사업상의 어려움을 가정에서 푸는 아버지로 인해 심각한 가정폭력에 시달리면서고 숨기는 하루야,
신이치의 할아버지가 몰던 배가 뒤집혀서 엄마를 잃은 후 어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나루미.
세 아이들의 유일한 놀이는 바닷가에서 잡은 소라게를 불태우며 소원을 비는 다소 잔인한 놀이.
소설을 3명의 아이들이 조금씩 자신을 압박하는 상황속에서 나름대로 견뎌내는 과정과
서서히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치밀하고 섬세한 심리묘사로 그려내고 있다.
왕따, 가정폭력, 엄마의 연애, 우정, 풋사랑, 질투 등의 감정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주로 신이치의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는 어린아이들의 감정선의 변화가 놀랍게도 어른과 닮았다.
실제로 6학년인 우리 아들의 모습과 비교해 봤을 때 설마 이렇게까지 감정이 예민할까? 생각하다가도
어쩌면 내가 우리 아들의 감정선의 변화를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결국 신이치의 엄마도 아들을 너무 어리게 보았기 때문에 자신의 연애가 가져올 아이의 감정을 무시한다.
그것이 가져온 무시무시한 결과를 놓고 볼 때 아이의 감정선을 헤아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된다.
아이들이 소라게를 잡아 꺼내서 불태우는 과정은 아이에서 어른으로의 성장과정의 은유이다.
누구나 태어나서 부모가 만들어 놓은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성장을 이루며 살아가지만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그 껍질을 깨고 나오는 용기가 필요하고 그 용기를 끌어낼 자극이 필요하다.
3명의 아이들은 모두 외부의 요인들에 의해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진행되는 상홛들의 압박을 통해
자신이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가정이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서 어른의 세계로 한발짝 들여놓고 있다.
산 위에서 몰래 피우는 담배는 그런 과정에 대한 단적이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소라게 새끼들이 어느 시점이 되면 자신의 껍질을 찾아가는 과정도 비슷한 은유라고 할 수 있다.
아쉬웠던 점은 아이들의 감정선이 어른들의 감정선을 너무 닮아 있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그럴수도 있겠지만 왠지 아이들을 핑계로 어른들의 이야기를 풀어나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큰 사건이 없이 평이하게 진행되는 이야기가 다소 밋밋했고 감정선에 치중해서 다소 지루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심리묘사가 뛰어난 성장소설이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