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KBS 스폐셜에서 서번트 신드롬(savant syndrome)에 대해 나왔다. 아주 드물긴 하지만, 지능은 보통사람들보다도 떨어지는데 음악연주나 달력계산, 암기, 암산 등에 특별히 뛰어난 재능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을 idiot savant라 부른다. 프랑스어로 이 용어의 의미는 배우지 않고(바보 idiot) 터득한 기술(석학 savant)이라는 뜻이다. 이렇게 발달장애나 자폐증 등 뇌기능 장애를 가진 이들이 그 장애와 대조되는 천재성이나 뛰어난 재능이 나타나는 현상.
특히 영화 「레인맨」의 실제 주인공 킴 팩의 기억력은 경이적이었다. 정말 부럽지만 그의 기억력은 자신 속에서만 갇혀져 있기에 창조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 그것이 그들의 한계이리라.
기억력이라면 어렸을 때 내 등록상표였다. 그야말로 필름같이 생생한(?) 기억력이었다. 지금도 좋지만 단기 기억이 약화되어서 집중해서 외우려고 하지 않으면 깜빡할 때가 많아지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되넘겨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일상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책읽는 속도가 떨어지는 모양이다. 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바치는 정성은 변함없건만 쉽게 놓쳐 버리다니 허무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뇌의 용량이 다 차서일까?
그래서인지 책을 읽을 때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것보다 지은 이가 그것을 어떻게 엮어내고 있는지를 감상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게 된다. 읽는 속도보다 폭과 깊이의 읽기를 통해 책 속에 감춰져 있는 구술들을 찾아내어 나의 안목으로 꿰어 보배로 만들어 가는 작업, 즉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는 행위가 되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하고 중요하다.
얼마 전에 끝낸 정옥분의 『아동 발달의 이해』(학지사)에서 “창의성이란 언뜻 보기에 관계가 없는 것들 간에 유사성을 찾아내는 능력이다.”라고 정의했는데 진정한 의미의 창조는 무에서 유를 만들어낸 하나님의 창조이고 인간의 창의란 기존의 것에 더하고 빼는 변형으로서의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이 세상에는 완전한 창조도 완전한 모방도 없다"고 했듯이......
그렇기 때문에 사물과 사실들 사이에서 새로운 연관성을 발견해 기존의 지식을 확장시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 가고 삶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창의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