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서판 - 인간은 본성을 타고나는가 사이언스 클래식 2
스티븐 핀커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본성을 타고 나는가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 그 논란에 대해 인간은 빈 서판으로 태어나지 않았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서 역설적으로 그렇게 제목을 달았다고 한다.

그래서 <빈서판>에 대한 비판의 원칙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

1. 인간의 모든 행동 특성은 유전적이다.
2. 한 가족 내에서 양육되는 것의 효과는 유전자의 영향보다 작다.
3. 복잡한 행동 특성들의 편차 중 상당 부분은 유전자나 가족의 영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652)

이를 입증하기 위해 거의 분야의 지식을 동원하는 저자의 솜씨와 열정이 새삼 경탄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본성이냐, 양육이냐를 논할 때는 양자의 상호작용이라고 햐야 되지 않을까?

본성(nature)이냐 양육(nuture)이냐 대한 강조의 차이는 사회 경제적 상황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사회 경제적으로 활기에 차있는 사회에서는 환경의 작용에 의해 본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양육론이 지배하고 사회 경제적으로 침체되어 있는 사회에서는 본성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본성론이 지배하게 된다.
즉, 사회 경제적으로 활기에 찬 사회에서는 증대된는 생산에 인간을 원하는 대로 배치시킬 수 있는 양육론이 지배하게 되어 사회적 차별이 약화되며, 침체된  사회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지배층이 독점하기 위해 본성론을 동원해 사회적 차별을 강화하게 되는 경향인 것 같다.

본성이냐, 양육이냐에 대한 대양한 최신의 논쟁들을 흥미진진하게 감상하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