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오리엔트의 역사를 통해 조명하는 구약성서의 이해
심종석 지음 / 이컴비즈넷 / 2004년 8월
품절


하나님께서 어느 날 천사들을 불러 모아 이르시기를 '내가 나와 대화할 수 있고, 사귈 수 있는 인간을 창조하려고 한다'는 뜻을 피력하셨다. 사실 신성을 가진 천사는 하나님과 주종관계(主從關係)의 지위를 갖고 있었는데, 뜻하지 않게 주종관계 이상의 지위를 갖는 친구와도 같은 지위로써, 그것도 신성을 갖고 있지도 않은 미약한 존재로써 인간을 창조하신다는 의지[計劃]에 전에 없이 반발하게 된다.
당시 천사장 미가엘(Michael)과 같은 수준의 지위를 갖고 있었던 루시퍼(Lucifer)라는 천사가 그 반발의 주동이 되었고, 이에 천사의 3분의 1이 루시퍼의 만발에 동조하게 된다.
루시퍼의 이해(利害)에는 후일 심판의 날에 이르러 그를 포함한 모든 천사가 인간의 수종(隨從)이 되어야 했던 이유에서 더욱 반발할 수밖에 없었다.
-91쪽

이 같이 끝없이 교만하였던 루시피는 결국 하나님의 저주를 받아 음부(陰府)에 추락하게 되는데(墜落天使, 叛逆天使), 그가 곧 사탄(Satan)이다.
루시퍼 곧 사탄의 입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창조한 인간이 그의 멸망[咀呪]의 원인이 되었기에, 그가 할 수 있는 대로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를 끊어 버리고, 또한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배반하게 하여, 그와 같이 멸망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만들어야 한다는 필연[報復]이 존재하게 된다. 왜냐하면 루시피는 창조된 인간으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저주를 받게 되었고, 하나님을 배반한 반역의 괴수로 낙인찍혀 음부에 추락하는 파멸을 맞았기 때문이다.
루시퍼는 이에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를 끊게 하려는 목적에서, 일례로 수많은 신화를 이 세상에 전하여 간섭하기 시작하고, 나아가 신약(新約)에 이르러서는 인간을 너무도 사량하여 그 죄를 대속(代讀)하기 위해, 그 또한 인간으로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하나님]을 광야에서 시험하기도 한다.
루시퍼는 불완전한 인간의 심성을 그의 신성을 통하여 익히 잘 알고 있는 까닭에, 그가 인간의 파멸과 멸망을 위해 역사하는 일면은 인간의 생각[理解]으로 너무나 쉽게 수용할 수 있게끔 작용한다. 곧 루시퍼는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며, 극히 현실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불완전한 본성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납득할 수 있게 역사한다. 예컨대 탐스러운 선악과(善惡果)에 대한 유혹, 인간의 본성을 자극하는 쾌락과 부귀영화, 하나님을 떠난 세상에서 일신상의 기복(祈福), 끊임없는 전쟁으로부터 인간의 파멸과 멸망, 유일 신앙을 현혹할 수 있는 다양한 미신과 사이비 종교의 창궐(猖獗) 등이 루시퍼에 속한 역사의 실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하나님께서는 루시퍼와는 달리 인간이 생각하기에 극히 비합리적이고 신비적이며 비논리적으로 다가와, 그 자유의지에 따라 정(正)과 사(似)가 구별될 수 있도록 역사하신다.-92쪽

이는 루시퍼와는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는 역사의 차이점이다 예컨대 이스라엘 앞에 놀인 홍해(Red Sea)가 갈라지며, 하나님께서 명하신대로 일곱 바퀴를 돌았더니 견고하기 이를 데 없었던 여리고(Jericho)성이 일순에 무너지고, 홍해와 같이 요단(Jordan)강이 갈라지고, 예언되었던 바대로 모세에 의한 애굽에서의 열 가지 신비적 재앙이 일어나고, 해와 달이 멈추어 서는 등의 사건이 하나님께 속한 역사의 실재로 예시할 수 사실이다. 이 두 가지 역사의 기로에서 인간은 그 자유의지에 따라 필연적으로 하나의 길을 선택하여야 하는데, 그 결과가 곧 인류의 흥망성쇠의 역사로 남게 되고, 또한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이는 명백한 성서에서의 역사[記錄]이자 신관이다.
기독교적 신앙에 의지할 경우, 루시퍼 곧 사탄에의 역사가 우리의 마음을 지배하지 않도록 그와 싸워 이겨야 하는 것은 창조주를 기억하는 피조물로써 당연한 인간의 숙명이라 할 수 있다.
루시퍼가 가장 두려워하고, 또한 인간이 루시퍼와의 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창조의 이유였던 바와도 같이 하나님과의 끊임없는 대화[祈禱]이다.
피조물로써 신앙을 지켜야만 하는 방위는, 곧 사탄과의 싸움에서 이겨 그가 주재하는 악의 역사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하나님과 피조물 된 지위에서 친구에 상당하는 관계를 유지하며, 창조주 하나님이 섭리하시는 역사에 동참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그 이유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내던져진 미약하기 그지없는 인간의 삶의 목적일 수 있다
이것이 구약성서에서 신관으로 표창(表彰)할 수 있는 사실이고, 필자 또한 이것이 계약의 핵심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고 있다-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